정년 60세 시대 맞아 고령인력 활용방안 마련해야
사무직 근로자의 퇴직 나이가 생산직보다 최대 8년 빠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노동연구원은 지난 22일 제조·금융·공공부문 등 100인 이상 기업 272곳의 인사관리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고령화에 대한 기업의 인식과 대응’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기업이 정한 사무직·생산직 근로자의 정년(평균 58세)은 같았지만, 실제 퇴직하는 사무직(55.7세)과 생산직(58.7세) 근로자의 나이는 3세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퇴직연령 차이가 가장 큰 업종은 석유화학업종이었다. 석유화학업종 생산직 근로자는 퇴직 연령이 58세로 사무직 근로자(50세)와 무려 8년이나 차이가 났다.
사무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대규모 명예퇴직이 진행 중인 조선업종도 생산직 근로자(55.8세)보다 사무직 근로자(50.6세)가 훨씬 빨리 퇴직했다.
반면, 철강업종에서는 두 집단의 퇴직연령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철강업종의 사무직 퇴직연령은 59세, 생산직은 60.5세였다. 이는 고용 안정성이 높은 포스코 등이 철강업종에 포진한 영향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호창 노사발전재단 수석연구원은 “숙련기술을 보유한 생산직 근로자는 현장의 인력 수요가 더 많은 것이 사실”이라며 “생산직보다 사무직의 노조 가입률이 낮은 점도 퇴직연령 차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업규모별로는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에서 조기 퇴직이 만연했다. 대기업(종업원 500인 이상)에서 사무직과 생산직 근로자의 정년은 각각 58.5세, 58.6세지만 실제 퇴직연령은 각각 51.8세, 54.3세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중소기업(100∼299인)에서는 사무직 근로자의 정년과 실제 퇴직 연령이 각각 57.8세, 57.6세로 차이가 없었다. 오히려 생산직은 정년(57.6세)보다 실제 퇴직 연령(59.8세)이 더 높았다. 이는 숙련 생산직을 구하기 힘들어 구인난을 겪는 중소기업에서 정년 후 재고용 등이 활발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보고서는 기업들이 희망퇴직이나 임금피크제 등 인건비 부담 완화에만 매달릴 것이 아니라, 정년 60세 시대를 맞아 고령 인력 활용방안을 더욱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는 ▲고령자 적합직무 개발 ▲전문직 제도 도입 ▲고령자 대상 직무훈련 및 생애설계교육 ▲유연한 직무 전환 ▲고령자 친화적 작업환경 개선 등을 제시했다.
박명준 노동연구원 선임위원은 “독일 등 선진국에서는 지속적인 재교육으로 중장년 근로자의 직무능력과 숙련도를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며 “우리도 재교육 강화와 직무·숙련도 중심 임금체계 도입 등으로 정년 60세 시대를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