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환경운동연합, 지역 특성 감안한 유해물질관리센터 설립 요구

울산지역 산업현장에서 유해화학물질사고가 잇따르자 지역시민단체가 유해물질 관리를 지속적으로 전담할 센터의 설립을 요구하고 나섰다.
울산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8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기환경 및 유해물질 관리를 위한 종합지원센터 설치”를 촉구했다.
센터를 설치해야 하는 당위성으로 환경운동연합은 최근 발생한 각종 사고를 들었다.
연합의 한 관계자는 “K아연 황산누출 사고, H공장 배관 폭발 사고, S사공장 다이옥신 초과 배출 등 지역 내에서 유해물질 관련 사고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면서 “이는 유해물질 관리에 총체적인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환경연합은 지역 맞춤형 대기환경 정책을 수립할 것과 유해물질 관리정책을 강화할 것도 요구했다.
현재 유해물질 측정을 위탁 받은 한국환경공단이 여천동 한 곳에서만 연 3회 정기적으로 시료를 채취하고 있는데, 이것만으로는 안전성을 판단하기에 부족함이 있다는 게 그 배경이다.
이에 환경연합은 울산의 수많은 공단 소각시설과 공정상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의 양에 비례하여 측정 장소와 샘플 수를 늘려줄 것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