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점 센터 구축 통해 연구실 안전 사각지대 최소화
권역별 특화된 아이디어 발굴…연구실 안전정책 수립 창구 역할 연구실 안전관리 사각지대를 없애고 현장의 목소리를 안전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정부가 전국 주요 권역별로 연구실 안전 거점 센터를 구축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역현장 밀착형 연구안전관리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하여 권역별(충청, 영남, 호남) 연구안전 클러스터를 선정했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충청권에서는 충남대학교, 영남권에선 영남대학교, 호남권에선 광주과학기술원이 각각 선정됐으며, 이들은 기존에 운영 중인 중앙센터(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및 수도권센터와 함께 권역별 연구실 현장 안전관리 지원 및 신속한 사고대응에 나서게 된다.
미래부는 전국 주요 권역별로 연구실 안전 거점 센터가 구축됨에 따라 연구실 안전환경 관리를 강화하는 체계적인 추진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현장과 정부의 매개자
이번에 선정된 연구안전 클러스터는 ‘연구실 안전관리 지원’, ‘권역별 연구안전 네트워크 구축’, ‘연구실 안전문화 확산’ 등 크게 3가지의 목표를 가지고 운영된다.
미래부는 이들 목표의 달성을 위해 안전관리 우수사례 공유의 장, 워크숍 등을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연구실 안전문화를 점진적으로 정착시켜 나갈 방침이다.
또한 화학, 생물 등 분야별 표준 연구실 디자인 개발, 연구실 안전체험 교육 프로그램 제안 등 권역별로 특화된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연구현장의 목소리를 연구실 안전정책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용홍택 미래부 미래인재정책국장은 “3개 클러스터는 연구현장과 정부의 매개자로서 연구실 안전관리 지원, 연구안전 네트워크 구축, 연구안전 신산업 활성화 지원 등을 실행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고유사업 발굴 및 고도화를 추진하여 연구안전 클러스터 추가·확대를 적극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