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업계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사망자 중 대부분이 하청근로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정미 의원(정의당)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현재까지 조선업 3사(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에서 총 37명의 근로자가 산업재해로 사망했다. 이 중 하청근로자 사망자 수는 29명으로 원청근로자(8명)의 사망자 수에 비해 3배 이상 높았다.
특히 현대중공업의 하청근로자 사망사고가 심각했다. 올해만 9명이 사망했으며 이 중 6명이 하청근로자였다. 지난 5년간 산재 사망자 총 23명 중 하청근로자는 17명에 달했다.
이에 이 의원은 “고용부가 조선업 산업재해 예방대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하청근로자의 생명은 여전히 위협받고 있다”면서 “비정상 근로조건과 제도는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 의원은 “현대중공업의 하청근로자 사망사고는 타사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면서 “이번 국정감사에서 반드시 현대중공업 대표가 증인으로 나와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정미 의원(정의당)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현재까지 조선업 3사(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에서 총 37명의 근로자가 산업재해로 사망했다. 이 중 하청근로자 사망자 수는 29명으로 원청근로자(8명)의 사망자 수에 비해 3배 이상 높았다.
특히 현대중공업의 하청근로자 사망사고가 심각했다. 올해만 9명이 사망했으며 이 중 6명이 하청근로자였다. 지난 5년간 산재 사망자 총 23명 중 하청근로자는 17명에 달했다.
이에 이 의원은 “고용부가 조선업 산업재해 예방대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하청근로자의 생명은 여전히 위협받고 있다”면서 “비정상 근로조건과 제도는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 의원은 “현대중공업의 하청근로자 사망사고는 타사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면서 “이번 국정감사에서 반드시 현대중공업 대표가 증인으로 나와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