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발주한 100억원 이상 현장 33곳 대상

건설근로자의 근로내역과 퇴직공제가 자동으로 신고되는 시스템이 확대 운영된다.
건설근로자공제회와 서울시는 최근 ‘건설근로자 퇴직공제 전자카드’ 시범사업을 다음 달부터 서울시가 발주한 사업장 33곳(공사금액 100억원 이상)으로 확대·운영한다고 밝혔다.
출·퇴근 시 카드 접촉을 통해 근로내역이 자동으로 신고되는 퇴직공제 전자카드는 건설현장 인력관리를 체계화하는 가운데 퇴직공제 신고누락도 방지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그 취지에 걸맞게 지난해 9월부터 올해 6월까지 실시된 퇴직공제 전자카드 시범사업에서 퇴직공제 적용근로자 81.2%가 전자인력관리 시스템에 등록됐다. 퇴직공제 이행율도 다른 사업장보다 약 2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서울시는 공사금액 100억원 이상의 건설현장 3개소와 토목현장 30개소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확대하기로 한 것이다.
이번 시범사업은 건축현장 위주로 운영됐던 이전사업과 달리 공원, 교량, 도로, 지하철 등 다양한 공정이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다만, 출입구가 일정치 않아 인력관리가 어려운 토목현장의 상황을 감안해 스마트폰 어플 등을 활용한 방안을 도입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초안전보건교육 이수증, 외국인취업인정증 등 공적정보와 연계해 퇴직공제 전자카드의 범용성을 높이고, 금융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퇴직공제 전자카드를 발급받은 근로자들에게 중금리(5% 이상) 생활자금 대부, 안전모 지급 등 다양한 서비스도 제공키로 했다.
권영순 건설근로자공제회 이사장은 “시범사업이 끝나는 내년 하반기에는 외부 전문기관으로부터 종합적인 평가를 받을 계획”이라며 “이후에는 전국으로 확대·시행하기 위한 법제화 등의 작업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