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2016년 상반기 임금체계 현황조사 발표
지난 21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6 상반기 임금체계 현황조사 결과’에 따르면 상반기 임금을 결정한 전국 100인 이상 사업장 3691곳 가운데 454곳(12.3%)이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지난해 임금체계를 개편한 사업장 비중(5.4%)보다 2배 이상으로 높아진 수치다.
임금체계 개편 방식은 사업장별로 다양했던 가운데, 근속연수에 따라 호봉을 올리는 근속·연공급의 축소·폐지 비중이 47.7%에 달했다.
올해 6월 말 기준 연봉제를 운용 중인 사업장은 1356곳(36.7%), 연봉의 일부를 성과와 연동시키는 성과연봉제를 운용하는 사업장은 449곳(12.2%)이었다.
연봉제 도입 사업장 중 성과연봉제 운용 사업장의 비중은 100∼300인 미만 사업장 30.2%, 300∼500인 미만 40.6%, 500인 이상 46.8%로 사업장 규모가 클수록 높았다.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할 계획을 세운 사업장은 500곳(13.5%)이었다. 이들 사업장은 성과연봉제 도입·확대(42.2%), 근속·연공급의 연공성 완화(33.6%), 집단성과급, 각종 인센티브의 평가 차등(30.6%) 등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서정 고용부 노사협력정책관은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하는 사업장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것은 현장의 임금체계 개편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이라며 “우수 사례 발굴, 홍보 및 컨설팅, 임금정보 제공 등 임금체계 개편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