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안전 자문위원회 공식 출범

지진·설비·소방 등 분야별 민간전문가 19명으로 구성…안전관리 실태 점검
정부가 올 연말까지 석유·가스 등 에너지시설에 대한 안전종합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3일 오후 서울상공회의소에서 지진 발생에 따른 원전, 발전소, 비축기지 등 에너지시설의 안전수준을 높이기 위해 ‘에너지안전 자문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제1차 에너지안전자문위원회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에너지시설을 점검해 본 결과 현장에 맞지 않는 재난대응 매뉴얼, 그리고 사이버테러 등 새로운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등을 보완할 필요성을 느꼈다”며 “연말까지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수준의 ‘내진 등 에너지시설 안전 종합대책’을 마련해 발표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주 장관은 “인구밀집 지역, 재난취약 지구의 에너지시설에 대한 선제적인 성능개선 투자를 확대하고, 긴급대응 매뉴얼이나 재난통제시스템 등 소프트웨어 측면의 미비점도 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주 장관은 “미국의 범죄학자 제임스 윌슨과 조지 켈린이 발표한 ‘깨진 유리창 이론’에 따르면 깨진 유리창 하나를 방치하면 그 지점을 중심으로 범죄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된다고 한다”며 “에너지시설 안전도 마찬가지인데 사소한 안전 위험요소를 방치하면 불의의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시설안전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이날 첫 출범된 에너지안전자문위원회는 지진, 방재, 소방 등 각 분야별 민간 안전전문가 총 19명으로 구성됐으며, 산하에 원자력, 석유, 가스, 전력, 광산 및 지역난방 등 5개의 작업반을 두고 활동을 시작한다.
위원회는 10월 초 에너지 시설 안전관리 실태 점검을 시작으로 ▲주요 에너지 시설별 내진기준 적정성 및 상향 필요성 ▲해외 에너지 안전사례분석 및 국내 적용방안 ▲에너지 시설별 각종 재난대응 매뉴얼의 적정성 ▲사이버테러 등 새로운 형태의 재난에 대한 안전대책 등을 검토해 정부에 에너지시설 안전 종합대책 권고안을 제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