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지원과 안심컨설팅 병행 지원
한강유역환경청은 수도권 소재 사업장 가운데 화학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을 대상으로 안전관리 강화에 나선다고 지난 9일 밝혔다. 고위험 사업장에 대한 기술지원과 지난 4월부터 실시하고 있는 ‘화학사고 안심컨설팅’을 지속 추진하는 투트랙 방식으로 화학사고를 예방해 나가겠다는 것이 기본 골자다.
우선 한강청은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제출받은 장외영향평가서와 위해관리계획서를 분석, 화학사고 발생 위험도가 높은 18개소를 선정해 기술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장외영향평가서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운영하는 사업장에서 의무적으로 작성해야 하는데, 한강청은 평가서를 바탕으로 주변 지역에 대한 안전 확보방안 등을 점검하고 화학사고 발생 시 신속대응을 위한 시나리오의 미흡한 부분에 대해 기술지원을 실시한다.
위해관리계획서는 폭발성 등이 강한 ‘사고대비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서 작성해야 한다. 한강청은 사고 시 지역주민에 대한 고지방법 및 자체 방제계획의 실제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사고대비물질 취급시설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기술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화학사고 안심컨설팅’은 화학사고 이력업체, 화학물질 다량 사용업체, 10인 이하 중소 영세사업장 중에서 매월 1개 업체를 선정, 안전관리를 지원하는 제도다. 그만큼 업체별로 맞춤형 기술지도를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10월에는 올 초 화재로 전소된 인천소재 화학공장에 대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재설치에 필요한 화학물질관리법상 관련규정을 안내하고, 누출감지기 설치 등 안전설비를 보강하도록 시설개선 방안에 대한 기술지원을 실시한 바 있다.
한강청은 이 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산업계·학계 등 관련 전문가 20여 명으로 구성된 컨설턴트그룹을 운영하고 있다.
이석록 한강청 화학안전관리단장은 “현장점검에서 미흡사항이 발견될 경우 적극적인 기술지원을 통해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화학사고의 작은 불씨조차 최소화해 나가겠다”라며 “사업장에서도 지속적인 안전교육과 시설개선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