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수익성과 안전성이 균형을 이루는 경영 펼쳐질 것”
정부가 5차례 매각 시도 끝에 결국 우리은행 민영화에 성공했다. 특히 기존에 취했던 일괄매각 방식이 아닌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채택해서 이뤄진 민영화인 만큼 새롭게 재편되는 지배구조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3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공적자금관리위원회를 열고 총 7개 투자사에 우리은행 지분 29.7%를 매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종 지분 낙찰자는 IMM 프라이빗에쿼티(6.0%),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한화생명, 동양생명, 유진자산운용(이상 4.0%), 미래에셋자산운용(3.7%) 등이다. 매각은 희망수량경쟁입찰 방식으로 진행됐다.
본입찰에서 예정가격 이상을 써낸 8곳의 후보자 중 높은 가격을 써낸 곳부터 희망지분을 낙찰 받았다.
낙찰자 중 지분율이 4%를 넘어선 회사에는 사외이사 1명을 추천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다. 우리은행 신임 사외이사진은 다음달 30일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된다. 정부는 다음달 중순까지 대금 수령 및 주식 양도를 마무리해 매각절차를 종결할 예정이다.
전요섭 금융위 구조개선과장은 “이번 매각으로 우리은행에 투입된 공적자금 약 2조4000억원을 회수하게 됐다”며 “ 투입된 전체 공적자금 중 남은 금액은 2조2000억원이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과점주주 지분의 합계인 29.7%는 예금보험공사의 잔여지분 21.4%를 훨씬 초과하는 수준”이라며 “당초 매각방안 발표 시 제시한대로 민간 주도의 자율경영을 위해 과점주주 중심으로 경영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로써 우리은행은 2001년 공적자금 투입 이후 15년 만에 민간 금융시장의 품으로 돌아가게 됐다.
우리은행의 전신은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이후 부실화된 상업·한일은행 등이 합병해 탄생한 한빛은행이다. 한빛은행은 2001년 예금보험공사가 설립한 우리금융지주에 편입되면서 정부 소유 은행이 됐다.
이후 정부는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2010년부터 우리은행 매각을 시도했지만 대규모 지분을 한 번에 매입하려는 투자자를 찾지 못해 네 차례나 고배를 들었다.
결국 정부는 지난 8월 우리은행 지분 51.06% 중 30%를 4~8%씩 쪼개 파는 과점주주 매각 방식으로 방향을 틀었고 예비입찰과 본입찰에서 흥행을 거뒀다. 예비입찰에 18곳이 참여했고, 본입찰에서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정한 예정가격(입찰 가격 하한선)을 넘은 8곳이 최종 낙찰에 도전해 이번에 7곳이 지분을 낙찰 받았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새로운 금융회사 지배구조 모델의 성공 여부는 과점주주들에게 맡겨져 있다”며 “다양한 성격의 과점주주들이 기업가치 제고라는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집단지성과 경험을 통해 합리적인 경영을 펼쳐나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