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스마트 검역정보시스템 고도화’…내년 4월 전면 시행
통신사가 오염국 방문자 정보를 질병관리본부에 실시간 제공 앞으로 메르스 등 해외감염병 오염국가를 방문했다가 국내에 입국하면 이동통신사의 로밍데이터를 통해 모니터링이 진행된다.
질병관리본부는 미래창조과학부의 ‘빅데이터 선도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스마트 검역정보시스템 고도화 사업’ 시범운영을 16일부터 실시한다고 15일 밝혔다.
스마트 검역정보시스템 고도화 사업은 해외 로밍데이터를 활용해 감염병 오염국가에서 국내로 입국하는 사람을 확인 후 감염병 잠복기간 동안 모니터링하는 검역정보화 사업이다. 모든 이동통신사 가입자를 대상으로 하며, 시범운영 기간을 거쳐 2017년 4월부터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
시스템 운영체계는 질병관리본부에서 해외의 감염병 오염국가 정보를 이동통신사에 제공하고, 이동통신사는 해외 로밍데이터를 바탕으로 감염병 오염국가에 방문한 가입자 정보를 확인해 질병관리본부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동통신사를 통해 확보된 감염병 오염국가 방문자를 대상으로 입국 후 감염병 잠복기간까지 증상발현 시 1339번으로 자진신고토록 안내 문자를 발송한다. 전국 의료기관과 오염국가 방문자 정보 공유를 통해 진료 시 의사가 환자의 여행력을 확인 수 있도록 해 해외감염병 대응 감시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메르스 환자 유입에 따른 방역체계 개편을 통해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제76조의2(정보제공요청 등) 조항이 신설됨에 따라 추진됐다.
정부는 향후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한 해외감염병 예방과 대응 능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