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유역환경청 ‘민관협의회 운영을 통한 화학사고 공동대응’ 정책
제7회 화학테러·사고 대응능력 평가대회서 대상 수상 낙동강유역환경청의 ‘민관협의회 운영을 통한 화학사고 공동대응’ 정책이 화학사고 예방 및 피해저감을 위한 최고의 정책으로 선정됐다.
환경부와 화학물질안전원은 최근 개최된 ‘제7회 화학테러·사고 대응능력 평가대회’에서 이 같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에는 7개 유역(지방)환경청과 6개 합동방재센터 소속 화학테러·사고 대응담당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대회 결과 최고상인 대상은 낙동강유역환경청이 수상했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대회 참가 기관 중 최초로 관내 화학물질 취급 민간기업과 ‘민·관 공동대응 협의회’를 구성·운영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협의회를 통해 화학사고가 발생할 경우 실시간 전파, 오염범위 확인, 농도 측정, 방재물자 지원 등 민간 기업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 또한 민간기업의 자율훈련에 대한 상담을 실시하고, 표준화된 상황일지를 개발·보급하는 등 화학사고 대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활동도 전개하고 있다.
차상인 최우수상은 한강유역환경청의 ‘위험지도와 자율대응반을 통한 사업장 관리’가 선정됐다. 한강청은 인천, 시흥 등 산단 내 각 기업과 ‘민·관 안전관리 자율대응반’을 운영하여 평상 시에는 화학사고 취약업체에 대한 안심상담(컨설팅)을 지원하고, 사고가 발생할 경우 각 기업이 자율적으로 상호 지원하여 공동대응하는 협력체계를 구축한 점이 호평을 받았다.
대구지방환경청은 ‘화학물질 운반차량 안전관리 강화방안’으로 휴게소, 고속도로 전광판 등에 유해화학물질 운송차량 운전자를 대상으로 안전운전 캠페인을 전개하고, 터널 내 화학사고 대응 훈련 등을 실시한 점이 좋은 평가를 받아 우수상을 수상했다.
김균 화학물질안전원장은 “정책 활용성, 실현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이번 대회에서 발굴된 우수사례를 전국으로 확대·시행할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