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안전원 ‘캐리스 앱’, 화학물질 특성 등 각종 정보 송‧수신 가능
초분을 다투는 화학사고 대응시간이 스마트폰 앱 도입으로 대폭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올해 3월 도입한 ‘캐리스 앱(CARIS, 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ystem)’을 적극 활용해 화학사고 대응 정보 제공시간을 기존 평균 20분에서 13분으로 단축했다고 15일 밝혔다.
캐리스 앱은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이다. 채팅을 통해 실시간으로 현장 상황을 공유할 수 있으며, 사진‧동영상‧화학물질 특성 정보와 같은 자료도 주고받을 수 있다.
또 약 13만6000곳의 화학물질 취급사업장 정보와 방재업체 현황도 담겨 있어, 사고 현장에서 대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즉각 활용할 수 있다.
앞서 안전원은 캐리스 앱을 소방서‧경찰서‧군(화생방) 등 600여개 화학사고 대응 유관기관 직원 2000여명에게 배포한 바 있다.
김균 화학물질안전원장은 “유관기관 간의 협업을 강화해 화학사고의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