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산업 실태조사…업체 대부분이 영세소규모, 종사자는 32만명
관련업계, 연구개발 지원과 저금리 자금 지원이 가장 절실 정부가 영세하고 내수 중심의 현 안전산업을 적극 지원해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로 키운다.
국민안전처는 최근 국내 재난안전산업의 전반적인 규모와 현황을 담은 ‘2016 재난안전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참고로 재난안전산업 실태조사는 국내 안전산업 육성 정책을 수립할 기초 통계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처음 도입됐다. 앞서 안전처는 재난안전산업 특수분류를 기준으로 조사대상을 추려 2500개 사업체를 표본 추출하여 2016년도 10월 24일부터 12월 23일까지 약 3개월에 걸쳐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방법은 대면 면접을 원칙으로 하되 인터넷 조사도 병행 진행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재난안전산업 관련 사업체는 총 4만9694개에 이르며 매출 규모는 36조 5629억원, 관련 종사자는 32만882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재난안전관련 사업체 중 50.5%가 2005년 이후에 설립되었고, 전체의 70%는 연 매출액이 10억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부분의 사업체가 소규모 기업 위주인 셈이다.
업종별 구성 비율을 살펴보면 ‘안전시설 건설설계‧감리업’이 전체의 37.8%(1만8798개)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안전관련 제품 도소매업(36.3%, 1만8051개)’, ‘안전관리 서비스업(13.4%, 6667개)’, ‘안전용품 제조업(4.8%, 2391개)’, ‘안전용 기기 및 장비 제조업(4.5%, 2248개)’, ‘안전시스템 개발 및 관리업(2.3%, 1136개), ‘안전용 운송장비 제조업(0.8%, 403개)순이다.
전체 매출액 36조 5620억원 중 수출액은 전체의 3.1%인 1조 1407억원이었다. 전체 사업체 중 1.8%만이 수출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돼 시장 구조는 수출이 아닌 내수 중심인 것으로 확인됐다.
산업 종사자를 성별로 보면 전체의 인원 중 80.7%가 남성으로 나타났으며, 직종별로는 기술직(생산)이 49%, 연령으로는 40대가 32%, 50대가 27%인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많은 종사자가 분포한 업종으로는 ‘안전시설‧건설, 설계, 감리업’이 13만3000명으로 전체의 41.5%를 차지했다. 이어서 ‘안전관리 서비스업’이 25.4%, ‘안전관련 제품 도소매업’이 14.3% 순으로 구성된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업계, “초기투자비용 부담이 가장 큰 애로사항”
재난안전산업 관련 사업체의 애로사항으로는 ‘초기투자비용 부담이 32.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전문인력 부족이 22.7%로 두 번째로 꼽혔다.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분야로는 저금리 자금지원이 38.9%, 업체간 연계가 23.3%, 연구개발 지원 확대가 10.9% 등으로 조사됐다.
정종제 국민안전처 안전정책실장은 “앞으로 주기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정책의 효과 및 산업동향을 파악하여 ‘안전’이 저성장시대 새로운 먹거리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