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층건물 화재와 관련한 특허 출원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청장 이수원)에 따르면 1970년부터 2010년 9월까지 고층건물 화재와 관련하여 총 1,999건의 기술이 출원됐다. 이 중 1999년 이전에는 연평균 30여건 미만이었으나, 2000년부터 2004년까지는 연평균 139건, 2005년에서 2009년까지는 연평균 187건 등이 출원되는 등 출원건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원 증가와 함께 특허 기술도 다양해지고 있다. 1990년 이전에는 탈출과 화재경보 관련 기술이 전체의 90%로 대부분이었으나, 1990년 이후에는 불연내외장재 관련기술(33%), 탈출 관련기술(30%), 비상문 자동개방 관련기술(6%), 자동소화 관련기술(5%), 제연 관련기술(5%), 방화벽 관련기술(3%) 등 기술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고층건물 화재발생 시 인명구조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탈출관련 기술의 경우 완강기나 곤돌라 등이 대부분(82%)이지만, 2000년 이후에는 사다리, 낙하산, 승강기, 인접세대 대피, 안전매트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는 특징도 나타났다.
특허청의 한 관계자는 “완강기나 안전매트 등 건물 외부를 이용한 탈출 기술은 10층 이상의 고층에서는 적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인접 세대로 대피하는 기술 등 여타 다양한 탈출기술이 많이 출원되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이 관계자는 “50층 이상 초고층건물이 경쟁적으로 세워지고 있고 100층 이상 건물들이 계획되고 있음에도 관련 기술수준은 20층 규모에 머물러 있는 게 현실”이라며 “초고층건물에 적용 가능한 기술의 연구·개발이 시급하고, 경제적이고 실효성 있는 우수한 특허기술에 대해서는 실제 적용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허청(청장 이수원)에 따르면 1970년부터 2010년 9월까지 고층건물 화재와 관련하여 총 1,999건의 기술이 출원됐다. 이 중 1999년 이전에는 연평균 30여건 미만이었으나, 2000년부터 2004년까지는 연평균 139건, 2005년에서 2009년까지는 연평균 187건 등이 출원되는 등 출원건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원 증가와 함께 특허 기술도 다양해지고 있다. 1990년 이전에는 탈출과 화재경보 관련 기술이 전체의 90%로 대부분이었으나, 1990년 이후에는 불연내외장재 관련기술(33%), 탈출 관련기술(30%), 비상문 자동개방 관련기술(6%), 자동소화 관련기술(5%), 제연 관련기술(5%), 방화벽 관련기술(3%) 등 기술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고층건물 화재발생 시 인명구조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탈출관련 기술의 경우 완강기나 곤돌라 등이 대부분(82%)이지만, 2000년 이후에는 사다리, 낙하산, 승강기, 인접세대 대피, 안전매트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는 특징도 나타났다.
특허청의 한 관계자는 “완강기나 안전매트 등 건물 외부를 이용한 탈출 기술은 10층 이상의 고층에서는 적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인접 세대로 대피하는 기술 등 여타 다양한 탈출기술이 많이 출원되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이 관계자는 “50층 이상 초고층건물이 경쟁적으로 세워지고 있고 100층 이상 건물들이 계획되고 있음에도 관련 기술수준은 20층 규모에 머물러 있는 게 현실”이라며 “초고층건물에 적용 가능한 기술의 연구·개발이 시급하고, 경제적이고 실효성 있는 우수한 특허기술에 대해서는 실제 적용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