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방재청, 소방시설 고장ㆍ관리 부실 속출
전국 11층 이상 고층건물 413개소의 소방안전에 심각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소방방재청이 17일 한나라당 임동규 의원에게 제출한 ‘고층복합건축물에 대한 관계기관 합동안전점검 결과’에 따르면 전국 11층 이상 건물 4,955곳 중 413곳(8.3%)이 소방시설 ‘불량’ 판정을 받았다.
이번에 발표된 내용은 소방방재청이 지난달 1일 발생한 부산 해운대 우신골든스위트 화재 이후 이달 5일까지 소방공무원과 분야별 전문가 등 2,135명으로 구성된 합동 점검반을 꾸려 고층빌딩의 소방안전 실태를 대대적으로 조사한 결과다. 참고로 전국 고층복합건물의 방화 시설을 전수조사한 결과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방재청의 세부적인 점검 내용을 보면 ▲경기는 765곳 중 99곳(12.9%) ▲부산은 723개 건물 중 142곳(19.6%) ▲인천은 138곳 중 28곳(20.2%) ▲울산은 103곳 중 24곳(23.3%) ▲경남은 230곳 중 53곳(23%) 등이 소방시설이 고장났거나 관리가 부실해 불량 판정을 받았다. 특히 충북의 경우 고층복합건물이 8개 밖에 없음에도 5곳의 소방 시설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심각성을 드러냈다.
반면 서울은 11층 이상 고층복합건물이 2,543곳으로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에서 가장 많았지만 21곳(0.8%)만 불량 등급을 받아 소방안전이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점검 후 소방방재청은 소화기를 설치하지 않았거나 스프링클러, 화재감지기가 작동하지 않은 사례 557건에 대해서는 시정명령을 내리고, 피트(PIT) 층을 다른 용도로 사용한 95건에 대해선 기관 통보했다. 또 피난통로를 폐쇄하는 등 법규를 어긴 8건에는 과태료를 물렸다.
임동규 의원은 “소방당국은 초고층 건물의 화재 예방에 더욱 주력해야하며, 건물주들도 책임감을 느끼고 자체 점검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