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예산 중 산재보험급여가 대폭 삭감돼 근로자들에 대한 산재보험 혜택이 대폭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6일 진보신당 정책위원회는 ‘2011년 고용노동부 소관 예산 변경 사항 분석자료’를 발표하며 “고용노동부 예산 중 산재보험급여가 대폭 삭감돼 이로 인한 근로자의 실질적 피해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정책위가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1년 고용노동부 예산은 정부원안에 비해 491억 3,500만원, 환경노동위원회 심사 의견에 비해 1,443억 5,400만원 삭감됐다. 그 중 산재보험급여는 389억원이 삭감됐다.
이중 산재보험기금 지출의 경우, 환노위가 156억 증액 의견을 제출했으나 상임위 안이 전혀 수용되지 않아 오히려 산재보험급여 389억 5,800만원이 추가로 삭감됐다.
진보신당 홍원표 연구위원은 “결과적으로 상임위 의견에 비해 총 545억여원이 삭감된 셈”이라며 “산재보험급여 삭감으로 인해 내년 산재보험 기준이 더욱 까다로워져 근로자들의 산업재해 인정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6일 진보신당 정책위원회는 ‘2011년 고용노동부 소관 예산 변경 사항 분석자료’를 발표하며 “고용노동부 예산 중 산재보험급여가 대폭 삭감돼 이로 인한 근로자의 실질적 피해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정책위가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1년 고용노동부 예산은 정부원안에 비해 491억 3,500만원, 환경노동위원회 심사 의견에 비해 1,443억 5,400만원 삭감됐다. 그 중 산재보험급여는 389억원이 삭감됐다.
이중 산재보험기금 지출의 경우, 환노위가 156억 증액 의견을 제출했으나 상임위 안이 전혀 수용되지 않아 오히려 산재보험급여 389억 5,800만원이 추가로 삭감됐다.
진보신당 홍원표 연구위원은 “결과적으로 상임위 의견에 비해 총 545억여원이 삭감된 셈”이라며 “산재보험급여 삭감으로 인해 내년 산재보험 기준이 더욱 까다로워져 근로자들의 산업재해 인정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