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창출을 위한 고용관련 제도와 정책이 금년 들어 대폭 달라졌다.
고령근로자의 사회 참여기회를 높이기 위해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지원금이 확대되는 등 총 24개 항목이 올해부터 달라진다.
청년 실업률이 6.4%에 달하고, 고용률도 OECD 국가 평균 63.8%보다 낮은 59.2%라는 점에서 이번 정부의 고용제도 개선은 분명 반길만한 일이다. 그러나 고용관련 사업전례를 감안했을 때 무조건 환영하기에는 선뜻 내키지 않는 부분이 있다.
희망근로사업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희망근로사업은 사회적 공공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으로 각 지자체에서 2009년 6월부터 시작했다. 이 사업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했다는 측면 외에도 임금의 반을 지역에서 구매 가능한 상품권으로 지급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런 긍정적 평가에 힘입어 올해에도 이 사업은 전국 각 지자체에서 활발히 진행될 예정에 있다.
그러나 실상 이 사업의 이면이 그리 밝지만은 않았다. 안전관리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업이 시행되는 바람에 사업 시행 첫해에만 월 평균 300여명이라는 엄청난 산업재해자가 발생했던 것이다. 이는 산업재해율로 환산하면 1.48%에 해당하는 수치로, 당시 전국 평균 산업재해율 0.71% 대비 무려 2배가 넘는 기록이다.
올해도 희망근로사업과 같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이 새롭게 시작된다. 이러한 사업들이 산재다발사업이라는 오명을 쓰지 않으려면 희망근로사업을 선례 삼아 미리 안전관리 인프라 구축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지방자치단체 사업 추진 부서에 안전관리 전문가가 전무한 현 실태에서 그동안 시행되었던 사후약방문 격인 안전대책만으로는 앞으로 있을 신규 사업에서 산업재해를 막을 방법이 없다. 체계적인 안전관리 인프라를 구축해야만 희망근로사업과 같은 안전관리의 허점이 드러나지 않을 것이다.
고령근로자의 사회 참여기회를 높이기 위해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지원금이 확대되는 등 총 24개 항목이 올해부터 달라진다.
청년 실업률이 6.4%에 달하고, 고용률도 OECD 국가 평균 63.8%보다 낮은 59.2%라는 점에서 이번 정부의 고용제도 개선은 분명 반길만한 일이다. 그러나 고용관련 사업전례를 감안했을 때 무조건 환영하기에는 선뜻 내키지 않는 부분이 있다.
희망근로사업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희망근로사업은 사회적 공공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으로 각 지자체에서 2009년 6월부터 시작했다. 이 사업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했다는 측면 외에도 임금의 반을 지역에서 구매 가능한 상품권으로 지급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런 긍정적 평가에 힘입어 올해에도 이 사업은 전국 각 지자체에서 활발히 진행될 예정에 있다.
그러나 실상 이 사업의 이면이 그리 밝지만은 않았다. 안전관리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업이 시행되는 바람에 사업 시행 첫해에만 월 평균 300여명이라는 엄청난 산업재해자가 발생했던 것이다. 이는 산업재해율로 환산하면 1.48%에 해당하는 수치로, 당시 전국 평균 산업재해율 0.71% 대비 무려 2배가 넘는 기록이다.
올해도 희망근로사업과 같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이 새롭게 시작된다. 이러한 사업들이 산재다발사업이라는 오명을 쓰지 않으려면 희망근로사업을 선례 삼아 미리 안전관리 인프라 구축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지방자치단체 사업 추진 부서에 안전관리 전문가가 전무한 현 실태에서 그동안 시행되었던 사후약방문 격인 안전대책만으로는 앞으로 있을 신규 사업에서 산업재해를 막을 방법이 없다. 체계적인 안전관리 인프라를 구축해야만 희망근로사업과 같은 안전관리의 허점이 드러나지 않을 것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