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이 생명ㆍ안전업무에서는 정규직을 고용하는 원칙을 세워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지난 14일 고용노동부 세종정부청사 대회의실에서 취임식을 갖고 “문재인 정부의 최우선 과제는 일자리 창출이며 고용노동부가 일자리 주무부처인 만큼 일자리정책을 주도해야 한다”면서 “일한만큼 대가를 정당하게 보상받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 이 우리 부의 핵심 역할”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김 장관은 “고용이 불안한 비정규직을 최소화 할 것”이라면서 “적어도 상시 지속적 업무, 생명‧안전 분야만큼은 정규직을 고용하는 것이 원칙이 되도록 하고 불가피하게 비정규직으로 고용하더라도 차별이 없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근로시간 단축 추진 의지도 밝혔다. 김영주 장관은 “최근 발생한 졸음운전 사고, 과로사 문제 등에서 보듯 장시간 근로로 인한 폐해가 심각하다”며 “업무 때문에 본인과 가족의 행복, 심지어 건강과 목숨까지 잃는 것은 본말이 전도된 것”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서는 “무조건 많이 일하는 것이 미덕인 시대는 지났다”면서 “주당 최대 52시간 근로를 명확히 하고, 근로시간 특례 업종의 문제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노사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균형있는 고용노동정책을 추진할 것도 다짐했다.
김 장관은 “일각에서는 노동현장 출신인 제가 편향적인 노동정책을 펼 것 이라고 우려하는 시각이 있지만, 노동 정책이 어느 한쪽으로부터 공정성을 의심 받는다면 생명력을 잃는 것이나 다름없다”며 “어느 한쪽에 치우침 없이 노사 모두로부터 박수 받을 수 있는 공정하고 균형 있는 정책을 추진할 것”이 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장관은 “노동자가 사람답게 사는 세상이라는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자”며 “저부터 선공후사(先公後私)의 마음으로 임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