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자격제도로 ‘방재기사’ 자격증 신설
정부가 2020년까지 재난관리 인재양성을 위한 생태계를 조성한다.
행정안전부는 7일 일선 대학에 ‘재난 관리 전문대학원’을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 9개 대학원에서 방재·기업재난·지진 등 3개 분야의 협업 과정이 이뤄지고 있는데, 앞으로는 재난관리 분야를 총괄해서 배울 수 있는 전문 대학원을 설립할 예정이다. 이는 지진, 기업재해 관리 등 기존의 인력양성 방식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서이다. 올해에는 전문대학원 설립과 관련된 밑그림을 마련하고, 예산을 확보하는 기초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 동시에 새로운 국가 자격제도인 ‘방재기사’ 자격증이 신설된다. 방재기사는 재난·재해 예방 분야에 특화된 전문가에게 주는 자격증으로, 가습기 살균제와 같은 화학물질과 환경재난 등의 위험을 방지하는 전문인력에게도 부여된다.
행안부는 2018년 이 같은 제도를 처음 도입하는 한편 상급 자격증인 ‘방재 기술사’와 ‘재난관리사’ 제도를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지자체에서 방재안전직렬 공무원을 뽑을 때 특정 수준까지 인원수를 늘려 선발하는 ‘채용 목표제’도 도입하기로 했다.
방재안전직렬 공무원 수를 집중적으로 늘려 중앙부처·지자체의 재난안전 관리 전문성을 제고하려는 취지에서다.
행안부는 재난 관련 평가나 훈련 때 과거 이 분야에서 활동했던 퇴직자가 컨설팅에 참여하는 길도 열어놓기로 했다. 아울러 행안부는 올해부터 ‘재난 트 라우마 총괄 지원체계’를 구축하기로 하고 보건복지부와 함께 ‘중앙재난심리 회복지원단’을 구성해 운영할 방침이다.
지원단은 재난 피해자 등을 위한 심리지원 정책을 총괄하고, 기관 간 지원기능을 조정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행안부는 전문대학원 설립, 방재기사 자격 신설, 방재직렬 채용목표제, 퇴직 자 평가 컨설팅 참여 등의 각 추진 과제가 시행되면 재난관리 인재양성이라는 생태계가 완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