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부가 내년 2월 5일부터 3월 30일까지 54일간 대형 공사장, 전통시장 등 안전관리 취약 민간시설 29만 개소를 대상으로 국가안전대진단을 실시한다.
행안부는 지난달 2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제26차 안전정책조정회의를 열고 ‘2018년 국가안전대진단 기본계획’을 확정.발표했다.
대진단 대상은 ▲기반시설(교량, 터널, 댐, 산업단지 등) ▲다중이용시설(요양병원, 백화점, 영화관, 전통시장, 유원시설, 지하도상가, 공연장, 종합병원, 숙박시설, 청소년 수련시설, 사회복지시설 등) ▲운송수단(여객선, 지하철 등) ▲주거 및 사무시설(공동주택, 초등학교, 초고층빌딩 등) 등 4개 분야 20개 시설이다.
행안부는 우선 국민들의 불안이 큰 분야, 안전사고가 빈발하는 분야 등의 시설을 위주로 집중 살펴볼 방침이다. 화재취약시설, 급경사지 등 위험시설 뿐만 아니라 포항 지진으로 사회적 이슈가 되었던 학교시설, 지진실내 구호소 등의 내진설계도 전수 점검한다.
아울러 다중이용시설, 운송수단 등 사고 확률이 높은 분야의 안전관리체계에 대해 심층진단을 실시하고, 안전사각지대를 발굴·개선하기 위해 주요 안전대책의 이행 실태도 중점 점검한다.
이밖에 백화점·영화관·여객선 등 민간시설의 경우 관리주체가 자율적으로 점검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교육·홍보·자문 상담(컨설팅) 등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현장 안전점검 시 국민 참여 확대
올해 국가안전대진단의 특징 중 하나는 국민들이 직접 안전점검 현장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한 것이다.
먼저, 정부는 민관합동안전점검단을 구성.운영하여 시설물은 물론 안전규정 준수여부, 안전관리체계 등을 집중 점검하는 한편, 현실에 맞지 않는 불합리한 제도는 적극 개선할 계획이다.
아울러 안전전문가, 자원봉사자 등으로 구성된 ‘국민안전 현장관찰단(464명)’도 운영해 학교, 전통시장 등 생활밀접분야의 안전실태를 면밀히 살필 예정이다.
조기 안전교육 활성화를 위해 내년부터는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어린이 안전점검단’을 시범 운영키로 했다. 학생들은 전문가와 함께 학교시설을 점검하는 가운데, 안전체험관 견학 등의 활동을 하게 된다.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성공적인 국가안전대진단을 위해서는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시민단체 등 다양한 국민들이 협력하고 참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국가안전대진단이 사회전반의 안전수준과 국민의 안전의식을 높일 수 있는 촉매제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