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0대의 금연이 늘면서 성인 남성 흡연율이 사상 처음 30%대로 하락했다. 하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가 중에선 최고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12월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성인남성의 흡연율이 39.6%를 기록해 처음으로 30%대에 진입했다. 이는 2009년 12월 기준 성인흡연율 43.1% 보다 3.5%p 감소한 수치다.
남성 흡연율은 2005년 52.3%를 기록한 이래 2006년 44.1%, 2007년 41%, 2008년 40.9%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이런 감소세는 얼마 가지 못했다. 2008년 말부터 2009년 중반까지 43.1%로 다시 올랐던 것. 여기에는 세계적인 금융위기에 따른 국내 경기불황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에 흡연율이 감소한 데는 40~50대의 금연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남성의 흡연율은 지난해 상반기 50.0%를 기록했으나 하반기에는 43.4%로 6.6%p 낮아졌다. 또 50대 남성은 41.5%에서 31.3%로 무려 10.2%p 낮아졌다.
반면 30대 남성의 흡연율은 48.5%에서 52.2%로 3.7%p 상승했으며, 20대 남성은 38.2%에서 40.9%로 2.7%p가 상승했다.
보건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40∼50대를 중심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진 점과 정부기관 및 사회단체들의 활발한 금연홍보활동 등이 흡연율 감소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성인남성의 흡연율(39.6%)은 감소하긴 했으나 OECD 평균(27.3%, 2008년 기준)과 비교해 볼 때 여전히 최고 수준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12월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성인남성의 흡연율이 39.6%를 기록해 처음으로 30%대에 진입했다. 이는 2009년 12월 기준 성인흡연율 43.1% 보다 3.5%p 감소한 수치다.
남성 흡연율은 2005년 52.3%를 기록한 이래 2006년 44.1%, 2007년 41%, 2008년 40.9%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이런 감소세는 얼마 가지 못했다. 2008년 말부터 2009년 중반까지 43.1%로 다시 올랐던 것. 여기에는 세계적인 금융위기에 따른 국내 경기불황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에 흡연율이 감소한 데는 40~50대의 금연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남성의 흡연율은 지난해 상반기 50.0%를 기록했으나 하반기에는 43.4%로 6.6%p 낮아졌다. 또 50대 남성은 41.5%에서 31.3%로 무려 10.2%p 낮아졌다.
반면 30대 남성의 흡연율은 48.5%에서 52.2%로 3.7%p 상승했으며, 20대 남성은 38.2%에서 40.9%로 2.7%p가 상승했다.
보건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40∼50대를 중심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진 점과 정부기관 및 사회단체들의 활발한 금연홍보활동 등이 흡연율 감소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성인남성의 흡연율(39.6%)은 감소하긴 했으나 OECD 평균(27.3%, 2008년 기준)과 비교해 볼 때 여전히 최고 수준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