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스마트 철도안전관리체계 구축 기본계획 발표
드론으로 교량, 송전철탑 등 위험 구간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는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철도안전 분야에 도입·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본격화 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17일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스마트 철도안전관리체계 구축 기본계획(2018∼2027)’을 수립·발표했다. 이는 미래 철도안전관리의 청사진을 제시하기 위해 차량·시설·운행 등 6대 분야 24개 과제를 담은 중장기 계획이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철도 차량관리 분야에서는 사물인터넷(IoT)·센서를 활용해 차량부품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3D 프린팅·로봇 제어설비 등 스마트 팩토리를 통해 자동 정비도 시행한다.
국토부는 본격적인 도입에 앞서 올해 철도차량 주요 부품과 선로에 센서를 설치해 차량 부품의 균열·마모·발열 등 이상 상태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범 사업을 시행하고, 단계적으로 관리 대상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 함께 차량·부품 단위로 고장 이력을 기록·관리한 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화된 점검·교체 주기·방법을 설정한다. 제품 성능개선에 활용하는 차량 이력관리시스템도 올해 정보화 계획을 수립해 단계적으로 구축한다.
◇2027년까지 철도사고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감축
시설관리 분야에서는 사물인터넷·드론 등을 활용해 시설물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면서 첨단 장비들을 통해 유지보수를 시행한다.
먼저 현재 시범 운영 중인 드론을 활용한 시설물 점검 활동을 2022년까지 지속 확대해 나가는 가운데, 교량·터널·옹벽 등에 센서를 설치해 균열·손상·파손 등을 실시간 감지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인적 작업으로 인한 사고를 원천 차단하기 위한 방안도 추진한다. 대표적으로 열차가 운행되는 선로에 사람을 직접 투입해 작업을 하는 선로 보수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소형 다짐장비 등을 활용한 작업으로 대체한다.
특히 올해부터 스마트폰 앱서비스 등을 통해 열차운행·작업 정보를 관제사·기관사·작업자 등이 실시간으로 공유해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는 시스템을 구축, 선로 작업자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인적관리 분야에서는 인공지능 센서를 통해 운전자 졸음·피로 등을 인지해 위험을 실시간 확인·경고한다.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활용한 비상대응 훈련을 통해 철도종사자들의 재난대응 역량도 강화한다.
위험관리 분야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고위험을 예측하고, 사고예방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등 안전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밖에 LTE 무선통신을 활용해 관제사, 기관사, 승무원, 승객 등이 비상 의사소통할 수 있는 재난방송시스템을 시범운영하고 점차 확대해 나간다.
국토부 관계자는 “철도사고를 2027년까지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감축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삼고 기술개발과 제도 개선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이라며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선도적으로 철도 분야에 적용해 모두가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