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지점번호 방식 도입…안전 사각지대 해소
앞으로 들ㆍ산ㆍ바다 등 건물이 없는 지역의 위치도 쉽게 표시할 수 있는 격자형 좌표개념의 국가 지점번호 제도가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4개 부처는 지난 19일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제24차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기초행정인프라 선진화 방안’을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이번에 발표한 ‘국가 지점번호 제도’는 전국을 100㎞ × 100㎞ 단위의 격자형으로 구분하고, 이것을 4차례까지 나누어 10m 까지 표시하는 제도다. 예를 들면 일정 지점을 ‘바사42314261’과 같은 형식으로 표기하는 것이다.
현재는 건물이 없는 지역의 위치표시를 할 때 소방·해양경찰·국립공원·한전 등 각 기관에서 개별적으로 설정하여, 기관마다 위치표시 방식도 다르고 안내표지판도 제각각 설치 운영돼 재난상황이나 응급상황 발생 시 체계적인 대응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정부는 앞으로 위치표시 방식을 지점번호 방식으로 통일시키고 표시방법도 단순화하여 위치표시 사각지대를 해소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맹형규 행안부 장관은 “비거주지역에 대한 위치표시체계 일원화 및 통합관리제가 실현되면 사각지대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에도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