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능했던 구역도 조사
선조위, 7월 20일 최종보고서 공개 방침

(이미지 제공 : 뉴시스)
세월호 침몰 원인 규명의 핵심 장소인 선체 내 기관 구역에 대한 조사가 이달 중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이하 선조위)는 지난달 24일 목포신항만에서 세월호 선체 내부 공개 후 열린 브리핑에서 “직립 이전에 살피지 못했던 구역을 중심으로 침몰 원인 조사를 이어간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선조위는 우선 주·보조 발전기실, 조타실·타기실·축계실, 엔진룸·스테빌라이져·앵커·통신기기·램프 등지의 결함 여부를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기관실 조타 유압장치 솔레노이드 밸브와 엔진 관련 프로펠러 오작동 여부, 침몰 당시 평형수 배출 관계등을 확인할 예정이다.
누워 있던 좌현 외판·내부 손상 여부도 확인한다. 이와 함께 25도 전후로만 움직일 수 있게 돼 있는 스테빌라이져(좌현 핀안전기)가 현재 51도까지 돌아가 있는 상황을 감안해 여기에 어떤 힘이 가해졌는지, 또 발전기가 꺼진 시점은 언제인지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이밖에도 오른쪽으로 꺾인 방향타와 인양 과정에서 제거된 선미 좌현 램프(화물칸 출입문)와 기관구역의 수밀 격문 개방 배경도 밝힐 계획이다.
◇미수습자 5명에 대한 수색, 7월부터 재개
선조위는 선체 내부 조사와 함께 미수습자에 대한 수색에도 속도를 낸다.
선조위에 따르면 미수습자 수색은 이달 중순까지 수평빔 제거와 안전 보강 작업을 완료한 뒤 이르면 내달 초부터 본격 실시된다.
수색 대상은 단원고 남현철·박영인 군, 양승진 교사, 일반인 권재근·혁규 부자 등 5명이다.
선조위는 그동안 진입이 불가능했던 ‘4층 객실 협착 부위’와 ‘기관실 등 지하층’ 위주로 수색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선조위는 각 분야별로 보고서 초안을 작성한 뒤 오는 7월 20일 최종보고서를 발표할 계획이다. 아울러 선체 보존·처리와 관련한 설문 조사와 공청회도 진행한다.
선조위의 한 관계자는 “세월호 참사를 교훈 삼아 ‘안전 사회 건설’이라는 염원을 담아낼 수 있도록 침몰 원인을 밝히는 데 힘쓰겠다”며 “선체 보존 계획도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세월호는 지난달 10일 전남 목포신항에서 참사 1486일 만에 바로 세워졌다. 지난 2014년 4월 16일 전남 진도 맹골수도에 침몰한 세월호는 지난해 4월 11일 육상 거치됐고, 지난달 10일 온전히 바로 세워졌다. 희생자 299명을 기록한 세월호 참사는 1993년 10월 10일 위도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292명 사망) 이래 최악의 선박사고로 기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