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까지 사망사고 예방 중점 점검기간 운영
사망사고 예방과 연계성 낮은 사업 축소 예정

(이미지 제공 : 뉴시스)
고용노동부가 앞으로 모든 사업과 지도‧감독을 사고사망자 감축에 초점을 두고 진행한다. 고용부는 지난 19일 서울고용노동청에서 이성기 차관과 8개 지방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주요 기관장 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방침을 정했다.
이날 회의는 산업재해 사망사고 감축에 대한 중요성을 공유하고, 효과적인 추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회의에서 이성기 차관은 올 초 산업재해 사망사고 감소대책을 발표하면서 목표로 내건 ‘2022년까지 산재사고 사망자 절반 감축(사고사망만인율 0.27‱, 사고사망자 500명 이하)’을 달성하기 위해 모든 자원을 총동원 할 것을 주문했다.
또 일선 기관장부터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사고발생 위험이 높은 사업장은 직접 점검하는 등 현장 관리에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
◇안전보건사업, 사고사망자 감축 위한 예방중심으로 개편
우선 고용부는 그간 수행하던 사업을 사고사망자 감축을 위한 예방활동 중심으로 개편한다. 대표적으로 적시기술지도 등 사망사고 예방과 연계성이 낮은 분야는 사업을 축소한다. 대신 지게차 안전관리 강화, 질식 위험영역 집중관리, 건설현장 작업발판 미설치 집중지도, 자치단체 위험작업 사망사고 예방 등을 적극 추진한다.
또 사고사망자 감축을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현장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전담 TF도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상파 뉴스의 전‧후 시간대에 추락재해 근절 캠페인을 집중 송출하고, 건설안전수칙 포스터 보급 및 현장 부착여부 점검 등을 통해 노동자의 행동변화를 유도한다.
이성기 차관은 “7월을 사망사고 예방 중점 점검기간으로 운영하고, 이 기간 중 장마철 집중호우에 따른 붕괴사고, 기온 상승에 따른 밀폐공간 질식사고 등 위험 현장에 대한 불시점검을 실시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 참석한 고용부 지방관서와 안전보건공단 등은 지역별 사망사고 예방활동 추진실적 및 향후계획, 산재사망사고 감소대책 실행전략을 각각 발표했다. 더불어 산재 사망사고 감축을 위한 사업장 관리 강화 방안, 국민 인식 제고방안 등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