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 31건으로 가장 많아…사망·장애도 16건
환자안전사고가 전년보다 60% 넘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사고의 대부분은 처치실수 등 보건의료인의 부주의로 인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5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2년8개월간(2016년 1월1일~2018년 8월31일) 소비자원에 접수된 환자안전사고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모두 137건이다.
이 중 올해 8월말까지 45건이나 접수돼 지난해 28건과 비교하면 60.7%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의 고령환자 비율이 43.0%였다.
사고 유형별로는 주사·부목·레이저시술·물리치료 등의 ‘처치·시술’ 문제가 41.6%(57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낙상 27.0%(37건), 투약오류 7.3%(10건) 등의 순이었다. 낙상 사고의 경우 화장실(27.0%, 10건)과 입원실(24.3%, 9건)에서 주로 발생해 환자와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안전사고로 인한 환자 피해는 골절이 22.6%(31건)으로 가장 많았다. 흉터(21.9%, 30건), 장기 또는 조직손상(15.3%, 21건) 등 순으로 많았다. 장애가 발생하거나 사망한 경우도 11.7%(16건)으로 적지 않았다.
발생 원인으로는 환자관리 미흡(37.2%, 51건)이나 처치실수(29.9%, 41건) 등 보건의료인의 부주의가 67.1%였다.
의료기관별로 보면 ‘의원’ 급이 28.5%(39건)로 가장 많았고, 환자안전법 상 환자안전 전담 인력 의무 배치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200병상 미만 병원’ 급도 13.9%(19건)를 차지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