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주요 문화재 예방감시스템 구축

‘숭례문’ 방화사건(08.2.10 발생) 이후 지난 3년 동안 국보, 보물 등 중요한 목조문화재에 대하여 문화재 특성에 맞는 감시시스템 및 소방장비가 구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재청 이유범 안전기준과장은 9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2011 문화유산방재 국제심포지엄’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문화재 방재정책현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숭례문 화재를 계기로 총 475건의 국가지정 목조문화재, 5대궁,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조선왕릉 등에 대해 지난 3년간 총 949억의 예산을 들여 방재시설을 구축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국보ㆍ보물 중 목조문화재 150건에 대해서는 방범용 CCTV, 화재감지 및 경보설비, 소화전 등 진화설비가 모두 갖춰졌으며, 사적 170건 중 48건(28%), 중요민속자료 155건 중 63건(41%)등에 대해서도 방재시설이 완비됐다.
또 문화재청은 방화를 사전 차단하기 위해 원격관제시스템 등의 각종 예ㆍ경보 시설을 설치했으며, 궁궐 및 국보ㆍ보물급 목조문화재 140건에 총 519명의 안전경비인력 및 감시인력을 배치해 24시간 감시체계를 구축했다.
이 결과 문화재청은 지난 2008년 7월, 수원 화성행궁 및 흥인지문(동대문)에 대한 방화시도를 막는 등 총 5건의 방화 시도를 사전에 제압, 귀중한 문화유산을 지킬 수 있었다.
이밖에 숭례문 화재 당시 필요성이 제기됐었던 화재대응 매뉴얼을 총 449부를 제작해 문화재 관리자들에게 배포했으며, 각 관할 소방서에는 문화재 구조도면을 제공해 진화에 따른 문화재 훼손을 최소토록 조치했다.
이 과장은 “숭례문 참화는 그간 미흡하게 다뤄졌던 문화재 방재 분야를 일대 혁신하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라며 “철저한 일상관리가 최선의 방재라는 것을 감안해 올해부터는 평상시 문화재 및 방재시설을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또 그는 “우리나라 문화재를 각종 훼손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전문가들의 참여도 중요하다”라며 “앞으로 ‘문화유산 방재 국제심포지엄’을 연례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