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재청 4만 4천여가구, 지경부 8만 8천여가구
취약계층에 대한 각종 무료시설 점검 및 정비사업이 활기를 띄고 있다.
소방방재청은 지자체들과 손잡고 올해 26억원을 들여 기초생활수급자 등 재난에 취약한 4만4,000가구의 전기, 가스 등을 무상으로 점검·정비해 줄 계획이라고 최근 밝혔다.
이는 취약한 생활환경으로 위험에 쉽게 노출돼 있는 기초생활수급자의 최소 안전 보장을 위해 누전차단기, 콘센트, 가스밸브 등 낡은 시설을 교체하는 사업이다. 소방방재청은 올해의 경우 단독경보형 감지기도 설치해 줄 계획이다.
소방방재청은 기초생활수급자가구 중에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중증장애인, 독거노인, 미성년 가장, 편부·편모세대, 만성희귀질환세대 등을 우선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지자체는 전기·가스안전공사, 전문업체, 소방·기술직 공무원, 자원봉사자 등으로 구성된 ‘안전복지컨설팅단’을 편성해 사업을 시행한다.
한편 지식경제부는 국민기초생활수급자 8만8,000가구의 노후된 LP가스시설에 대해 호스를 금속배관으로 교체하고 안전시설을 설치해주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경부는 이 사업을 위해 올해 149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5년간 발생한 가스사고 1091건 중 LP가스 사용 주택에서 발생한 사고는 357건(인명피해 448명)으로 32.7%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위험성에 LP가스를 사용하는 주택의 경우 오는 2015년까지 노후 LP가스시설을 금속배관으로 교체할 것을 의무화했지만,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 경제여건상 자발적으로 개선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노후된 호스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균열, 훼손 및 고의 절단 등으로 가스누출 등 사고발생 위험성이 높다”라며 “향후 차상위 계층도 LP가스시설 개선 사업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