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관리 및 원자력안전에 대한 한중일 3국의 협력체계가 강화된다.
외교통상부 김성환 장관은 19일 일본 교토에서 열린 제5차 한일중 외교장관회의에서 3국이 이같이 합의했다고 밝혔다.
3국이 협력하는 분야는 재난관리부분과 원자력 안전관리부분이다.
김 장관은 “각국의 안전과 번영을 위해서는 재난관리 분야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이번 일본 지사태로 깨달았다”라며 “이에 재난과 원자력 안전 부분에서 동북아 3개국이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고, 올해 제4차 정상회의에서 그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을 정하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외교통상부에 따르면 3국 외교장관은 연내 중국 베이징에서 3국 재난관리 기관장 회의를 열어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3국이 이같이 뜻을 같이한 데에는 동북아가 원자력 안전과 관련해서는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을 공감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일본은 이번 지진사태에 드러났듯이 원전에 대한 관리가 허술했음이 드러났고, 중국과 우리나라 역시 원전발전소의 신설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관련정보 및 기술의 교류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에 지진이 발생했을 때 중국의 원전방사능 피해를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실제로 중국은 원전을 현재 13기를 운영 중이고 25기를 건설할 예정인데, 운영 중인 원전 대부분이 동부해안가에 몰려있어 지진 발생 시 우리나라도 직접적인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H대학교의 한 교수는 “현재에도 황사 시에 세슘이 일부 검출되고 있다는 것을 볼 때, 중국에서 만약 지진이 발생하여 원전이 폭발한다면 우리나라에도 엄청난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며 “이에 이번 지진당사자인 일본을 포함 중국과 우리나라의 협력체계가 무엇보다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