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주민들, 안전 시설물 부실 지적
2008년 35명의 사상자를 낸 경남 양산의 지방도에서 최근 또 버스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정부가 해당 도로의 안전관리를 소홀히 해 ‘죽음의 도로’를 만들었다는 지역민들의 원성이 일고 있다.
지난 26일 낮 12시3분경 경남 양산시 어곡동 1051호 지방도에서 창원의 모 대학 학생들이 탄 관광버스(운전사 임모씨)가 50여m 아래 계곡으로 추락했다. 이 사고로 정모(18)양 등 학생 3명이 숨지고 학생과 교수, 운전기사 등 29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이번에 사고가 난 곳은 2008년 11월 창원 모 자동차 회사 직원을 태운 통근버스가 추락해 4명이 숨지고 31명이 다쳤던 지점에서 불과 30여m 떨어진 곳이다.
이 통근버스 사고 이후 양산시가 도로 굴곡과 경사를 일부 개선했으나, 안전 시설물이 부실하다는 지역 주민들의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관계기관, 합동 정밀조사 나서
사고가 난 도로는 급경사와 급커브로 악명 높은 곳이다. 16도의 급경사에다 S자형으로 심하게 굽은 길이 3킬로미터 이상 이어지는 것. 게다가 도로 폭도 편도 1차선에 불과해 사고 위험이 상당히 높다.
하지만 관계당국의 관리는 부실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주민 등에 따르면 사고 위험성 때문에 대형 차량의 통행을 제한한다는 입간판이 도로 입구에 설치돼 있지만 단속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또 미끄럼 방지 포장, 경고 현수막, 브레이크 파열에 대비한 비상용 정차대 등의 안전시설이 갖춰져 있었음에도 사고가 발생해, 부실 설치에 대한 의혹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현재 경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합동조사단은 사고 도로의 특성, 안전시설물 상태 등을 중심으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합동조사단은 “사고 당시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운전사 임모(41)씨의 진술을 토대로 사고차량의 결함 여부를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안전벨트 착용여부와 관련해선 버스 탑승자들 대부분이 사고 당시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버스가 50여m 아래 계곡으로 추락한 대형사고임에도 그나마 인명피해가 덜했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경찰은 현장조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운전사 임씨와 버스 탑승자들을 상대로 추가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