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위, 국내 21개 원전 안전점검
정부가 내달까지 국내 21개 모든 원전과 연구로 등에 대해 총체적인 안전점검을 실시키로 했다. 점검 결과 정밀 진단이 필요한 원전에 대해서는 가동중단 조치도 취할 계획이다.
정부는 28일 오후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원자력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국내 원전 안전관리 대책 등을 논의했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먼저 내달 22일까지 국내 21개 모든 원전 및 연구로, 핵주기시설 등 주요 원자력시설을 대상으로 일제 안전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가동 30년이 넘은 고리 1호기를 비롯해 20년 이상 가동 중인 원전 9기는 중점 점검해 정밀진단이 필요할 경우 해당 원전을 가동중단 시키기로 했다.
또 정부는 방사선 피폭 등 원자력 사고에 대비한 비상대응체계를 재점검하는 한편 지진 발생에서 대형 해일, 전력 차단, 대형 원전사고까지 이어지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안전성 상태도 중점 확인하기로 했다.
아울러 정부는 이번 점검을 통해 확인된 문제점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개선, 보완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원전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며, 우리가 원자력 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서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할 요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원전 안전점검 및 대책을 새롭게 재설계 한다는 각오로 충실하게 점검을 수행하고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 국민의 신뢰를 얻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회의에서 위원들은 안정적인 전력 수급 차원에서 원자력 발전이 필수불가결하다는데 뜻을 같이하고, 이를 위해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하여 원전관리를 펼쳐나가기로 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