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해균 선장 주치의 국회 토론회서 주장
“만약 서울에서 총상을 입은 외국인 근로자가 갑자기 발생한다면 과연 제대로 된 치료를 받고 살아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중증 외상센터를 세우는 등 외상의료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면 매년 1만명의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삼호주얼리호 구출작전 중 총상을 입은 석해균 선장의 주치의인 아주대 이국종 교수는 25일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중증외상센터 문제점 및 발전방안’ 토론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날 이 교수는 허술한 국내 외상치료 체계의 문제점을 하나하나 날카롭게 지적했다.
먼저 이 교수는 우리나라의 열악한 외상치료 환경을 설명했다. 이 교수에 따르면 국내에선 외상으로 연간 75만명이 입원하고 이중 3만 명이 숨진다. 특히 사망자 3명 중 1명꼴인 1만명은 적절한 치료가 있었다면 충분히 살아날 수 있는 환자로 분류된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살릴 수 있었음에도 사망한 중증 외상환자의 비율이 35%에 이른다”라며 “특히 준종합 의료기관으로 옮겨진 뒤 숨진 중증 외상환자의 절반가량은 살릴 수 있는 환자”라고 말했다.
◆ 외상센터 건립 ‘시급’
이날 이 교수는 외상센터 건립의 필요성도 주장했다. 이 교수는 “만약 서울에서 석 선장처럼 총알 6발을 맞은 외국인 근로자가 발생한다면 과연 생존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고 운을 띄웠다. 중증 외상환자가 발생해도 이들을 치료할 외상센터가 없다는 게 그 이유였다.
이 교수는 “연간 7,000명의 외상환자가 입원할 수 있는 허브외상센터를 갖춘 미국 메릴랜드에선 예방 가능 사망률이 5%에 그친다”고 말했다. 여기에 더해 그는 “우리와 별 차이가 없던 일본도 2000년대 들어 전국 22개 거점 외상센터를 설립하면서 예방 가능 사망률을 10%로 낮출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 교수는 외상센터의 건립을 기피하는 국내 병원들의 실태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 교수는 “외상 치료에 많은 인력·장비·의약품·수혈제제 등이 들다보니, 많은 병원들이 과다치료로 보고 외상센터의 설립을 기피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교수는 “외상환자의 대부분은 육체노동자·3D 업종 종사자·외국인 노동자 등의 사회적 약자”라며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배려가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이 교수는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역설했다.
이 교수는 “2009년 3월부터 7개월간 열심히 수술했더니 병원 손해가 8억7,000만원이 넘었다”며 “외상 치료의 활성화를 위해선 정부의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