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방역을 위해 범정부 통합 대응기구로 발족했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구제역 사태가 진정세에 접어들고 매몰지 보완 공사가 마무리되면서 지난달 31일 해체됐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전 매몰지에 대한 1차적인 정비보강이 차질없이 완료되면서 앞으로는 농식품부가 주관해 매몰지를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간다”고 밝혔다.
정부가 사실상 구제역 종식을 선언했지만 이번 구제역 사태를 바라보는 농축산 전문가와 농민들의 시선은 여전히 곱지 않다. 정부의 안이한 초기 대응 때문에 구제역이 그토록 확산됐다는 게 이들의 시각이다.
실제 지난해 11월23일 안동에서 첫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됐으나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간이 키트 검사에서 음성으로 판정됐다는 이유로 미온적인 대처를 했다.
정부 역시 안이한 대처에 나선 것은 마찬가지다. 정부는 구제역이 발생된 지 한 달이 지난 2010년 12월25일 처음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는 등 늑장대응으로 일관했다.
참고로 이번 구제역 사태는 지난해 11월28일 경북 안동에서 최초 발생한 뒤 전국 각지로 확산됐다. 서울과 제주 등을 제외한 전국 11개 광역시·도 75개 시·군·구에서 발생했다. 동원된 인력만 공무원, 군인, 경찰 등 200여만명에 이른다.
도살된 가축 수도 사상 최대 규모다. 돼지 331만7,864마리 등 총 348만여마리가 희생됐다. 이는 2000년대 들어 발생한 4차례 구제역을 모두 합한 것보다 많은 수치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