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감소한 반면, 스쿨존 내 어린이 사망사고는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삼성화재 부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2006년부터 2010년 사이 경찰에 신고된 도로교통사고 가운데 14세 미만 어린이 교통사고 104,755건을 대상으로 분석한 ‘어린이 교통사고 특성 및 위험성’결과에 따른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스쿨존 내 어린이 교통사상자는 2.2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의 적극적인 어린이 안전대책 사업으로 스쿨존 지정비율이 2006년 49.1% 수준에서 2010년 83.0%까지 증가했음에도 오히려 사고가 늘어난 것이다.
아울러 최근 5년간 초등학생 어린이 교통사고로 총 54,727명이 부상·사망한 가운데, 이 중18.4%(10,065명)는 초등학교 1학년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전체 어린이 교통사고의 37.8%는 초등학생 하굣길인 14~18시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 측은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쿨존을 지정·운영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의견을 개진했다. 연구소 관계자는 “스쿨존 시설 투자 뿐 아니라 운전자의 스쿨존 30km/h 속도 준수와 더불어 하굣길 안전도우미 배치와 같은 통학로 안전 집중 운영관리가 병행 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참고로 세계적으로 인구 10만명 당 14세 이하 어린이 교통사고를 보면, 아이슬란드가 0명으로 가장 적고, 그리스가 2.6명으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는 1.9명으로 OECD 평균 1.6명 보다 1.2배 높았으며, 25개 가입국 가운데 18위를 차지해 열악한 상태를 나타냈다.
이는 삼성화재 부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2006년부터 2010년 사이 경찰에 신고된 도로교통사고 가운데 14세 미만 어린이 교통사고 104,755건을 대상으로 분석한 ‘어린이 교통사고 특성 및 위험성’결과에 따른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스쿨존 내 어린이 교통사상자는 2.2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의 적극적인 어린이 안전대책 사업으로 스쿨존 지정비율이 2006년 49.1% 수준에서 2010년 83.0%까지 증가했음에도 오히려 사고가 늘어난 것이다.
아울러 최근 5년간 초등학생 어린이 교통사고로 총 54,727명이 부상·사망한 가운데, 이 중18.4%(10,065명)는 초등학교 1학년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전체 어린이 교통사고의 37.8%는 초등학생 하굣길인 14~18시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 측은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쿨존을 지정·운영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의견을 개진했다. 연구소 관계자는 “스쿨존 시설 투자 뿐 아니라 운전자의 스쿨존 30km/h 속도 준수와 더불어 하굣길 안전도우미 배치와 같은 통학로 안전 집중 운영관리가 병행 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참고로 세계적으로 인구 10만명 당 14세 이하 어린이 교통사고를 보면, 아이슬란드가 0명으로 가장 적고, 그리스가 2.6명으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는 1.9명으로 OECD 평균 1.6명 보다 1.2배 높았으며, 25개 가입국 가운데 18위를 차지해 열악한 상태를 나타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