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휴대전화 전자파가 납, 배기가스, 클로로포름 등과 같은 발암 위험 물질에 포함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휴대전화 사용 시 발생하는 전자파 때문에 악성 뇌종양(뇌암)에 걸릴 위험이 사용하지 않는 사람보다 높아질 수 있다는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휴대전화가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는 그동안의 입장을 180도 바꾼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프랑스 리옹에서 14개국 31명의 전문가와 8일간의 회의를 거친 결과, 인체에 암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로 휴대전화 사용을 꼽았다. 휴대전화를 오랜 기간 사용할 경우 전자파 때문에 뇌종양의 일종인 신경교종이나 청각 신경에 종양이 발병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설명이다.
조너선 새멋 IARC 소장은 “전염병학 연구결과 등을 검토한 결과 휴대전화의 무선 전자기장이 신경교종(악성 뇌종양의 일종)의 발생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며 “휴대전화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이들의 경우 위험이 더 크다는 점도 10년간 이뤄진 연구에서 드러났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 외 암에 대해서는 명확한 관련성을 끌어내지 못했다. IARC의 공식 보고서를 작성한 커트 스트라이프는 “휴대전화 사용으로 신경교종이 늘어났다는 증거는 있지만 휴대전화 사용이 암을 초래한다고 볼 증거는 분명하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정부는 휴대 전자기기 전자파 기준을 강화하기로 했으며, 최근 널리 보급된 태블릿 PC도 전자파 조사 대상에 포함시킨다는 입장을 밝혔다. 더불어 휴대 전화를 오래 쓰거나, 임산부와 청소년이 쓸 때 위험성이 더 높은지 확인하는 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통신업계 ‘신빙성 없다’
이번 발표에 대해 휴대폰 업계는 크게 반발하고 있다. 조사 내용이 ‘제한된 증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미국의 이동통신산업협회(CTIA)는 “이미 미 연방통신위원회(FCC)에서 ‘휴대폰 사용이 암을 유발한다는 과학적인 증거가 없다’고 결론 내린 바 있다”며 “이번 조사는 새로운 실험을 하지 않고 발표가 끝난 자료를 재검토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신빙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국내 업체들도 국제적 기준에 따라 전자파가 머리 무게 1킬로그램당 흡수율이 1.6와트 이하의 제품만 판매하고 있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휴대전화 안전한 사용법은?
그렇다면 휴대전화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WHO에서 제시하는 안전한 휴대전화 사용법을 살펴보자.
△ 긴급한 경우가 아니면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말 것
△ 오랜 통화는 가급적 삼가고, 약간 떨어져서 사용할 것
△ 가능하면 휴대전화를 몸 가까이에 두지 말 것
△ 장시간 통화할 때에는 유선전화를 이용할 것
△ 전자파 방출이 적은 휴대전화를 골라 사용할 것
△ 가능하면 문자메시지를 이용할 것
△ 이어폰을 꽂고 통화하는 핸즈프리를 사용할 것
△ 오랜 통화는 가급적 삼가고, 약간 떨어져서 사용할 것
△ 가능하면 휴대전화를 몸 가까이에 두지 말 것
△ 장시간 통화할 때에는 유선전화를 이용할 것
△ 전자파 방출이 적은 휴대전화를 골라 사용할 것
△ 가능하면 문자메시지를 이용할 것
△ 이어폰을 꽂고 통화하는 핸즈프리를 사용할 것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