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산 배추에 다량의 항암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국내 배추 23품종에 대해 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력한 항암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글루코시놀레이트(glucosinolate)’ 14종이 함유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를 글루코시놀레이트 종류별로 살펴보면, 우선 유방암 억제 효과가 탁월한 ‘인돌형 글루코시놀레이트’는 모든 배추 품종에 평균 2.31mg/g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R맛’ 품종에는 가장 많은 4.0㎎/g이 함유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광범위한 암 억제 효과를 지닌 ‘글루코브라시신(Glucobr assicin)’의 경우 브로콜리에 들어 있는 0.7㎎/g 보다 많은 평균 0.8㎎/g이 들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암 유발 물질을 제거하는 ‘글루코브라시카나핀(Glucobrassicanapin)’과 ‘글루코나핀(Gluconapin)’도 각각 평균 1.3㎎/g과 0.9㎎/g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23개 배추 품종 중 ‘꼬리’에는 가장 많은 14mg/g의 글루코시놀레이트가 들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농촌진흥청 생물안전성과 김재광 연구사는 “이번 연구결과로 국내 배추의 기능성이 다시 한번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라며 “우리 김치의 해외수출과 김치산업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