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유치원과 초·중·고교 건물의 대부분에서 석면이 검출됐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경기도교육청은 ‘학교석면 안전관리 최종연구보고서’를 10일 공개했다. 이 보고서는 경기도교육청이 한양대 산학협력단에 연구 의뢰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협력단이 서울, 경기 등 전국 6개 시도의 유·초·중·고 및 특수학교 100곳을 표본 조사한 결과, 96곳에서 석면이 검출됐다. 학교급에 따라서는 모든 유치원과 고교에서, 초교의 97.1%, 중학교 92.9%, 특수학교 80%에서 석면이 검출됐다.
교내 시설별로 살펴보면 교실 천장과 벽면, 바닥 등에서 채취한 시료 1,008개 중 769개(76.3%)가 백석면이나 갈석면을 함유하고 있었다. 석면이 검출된 건축재는 천장 텍스가 638개(82.9%)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벽면재인 밤라이트 110개(17.2%), 슬레이트 18개(2.3%), 개스킷 2개(0.3%) 등의 순이다.
협력단의 한 관계자는 “즉각적인 폐쇄조치가 요구되는 관리등급 1급 시설은 없지만 대다수가 위험성이 높은 2, 3급으로 조사됐다”면서 “잠재적인 석면 노출 가능성이 있는 위험성 2등급의 학교들부터 우선 관리에 나서서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이들 건물의 석면자재를 철거하고 새로 짓는 데 약 5조4,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교육과학기술부는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올해 7월까지 학생들의 석면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관리 방안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교육청은 ‘학교석면 안전관리 최종연구보고서’를 10일 공개했다. 이 보고서는 경기도교육청이 한양대 산학협력단에 연구 의뢰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협력단이 서울, 경기 등 전국 6개 시도의 유·초·중·고 및 특수학교 100곳을 표본 조사한 결과, 96곳에서 석면이 검출됐다. 학교급에 따라서는 모든 유치원과 고교에서, 초교의 97.1%, 중학교 92.9%, 특수학교 80%에서 석면이 검출됐다.
교내 시설별로 살펴보면 교실 천장과 벽면, 바닥 등에서 채취한 시료 1,008개 중 769개(76.3%)가 백석면이나 갈석면을 함유하고 있었다. 석면이 검출된 건축재는 천장 텍스가 638개(82.9%)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벽면재인 밤라이트 110개(17.2%), 슬레이트 18개(2.3%), 개스킷 2개(0.3%) 등의 순이다.
협력단의 한 관계자는 “즉각적인 폐쇄조치가 요구되는 관리등급 1급 시설은 없지만 대다수가 위험성이 높은 2, 3급으로 조사됐다”면서 “잠재적인 석면 노출 가능성이 있는 위험성 2등급의 학교들부터 우선 관리에 나서서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이들 건물의 석면자재를 철거하고 새로 짓는 데 약 5조4,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교육과학기술부는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올해 7월까지 학생들의 석면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관리 방안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