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방재청 ‘한반도 지진 등 복합재난 대응 세미나’ 개최

최근에 발생한 재난은 과거와 달리 복합적인 형태를 띠기 때문에 체계적인 대비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 같은 주장은 지난 9일 소방방재청과 국가위기관리학회가 주최한 ‘한반도 지진 등 복합재난 대응 세미나’에서 제기됐다. 이번 세미나는 지진(지진해일)재해 근원적 피해저감, 국지도발에 따른 민방위시스템 재정립, 원전 방사능 누출에 대한 방재대책 등 3가지 세션으로 진행됐다.
먼저 지진(지진해일)재해 근원적 피해저감 대책 방안 마련과 관련해서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2010년 1월 아이티 지진은 규모 7.0으로 발생돼 22만명이 사망했지만 같은 해 2월 칠레에서는 8.8의 지진이 있었지만 사망자는 1,000명이었다”라며 “이는 지진에 의한 피해가 지진의 규모에도 달려 있지만 어떤 깊이에서, 인구 밀집 지역과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발생했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홍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역사적으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한 전례가 있고, 서해안을 중심으로 지진이 계속되고 있는 만큼 내진설계 강화, 지진경보기 도입, 정밀지진재해도 마련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덧붙여 홍 교수는 “3월 일본 대지진에서 대부분의 사망자가 지진이 아닌 쓰나미에 의해 생겼다”며 “이는 1995년 고배대지진이 이후 내진설계를 강화하는 등 철저히 대비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조용식 한양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지진, 쓰나미 등 자연재해는 인간의 힘으로 막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전제하며 “일본 근해에서 지진해일이 발생하면 동해안에 도달하기까지 100~120분이 걸려 경보체계를 잘 갖추면 대피할 시간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어 조 교수는 “그러나 현재는 해안가에서 대피소까지 이동하는데 성인 남자 기준으로 30분 정도시간이 걸리고, 정작 대피소가 어디 있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주변국 원전 방사능 누출 사고 대응방안에 대해 박원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방재환경부장은 “최선의 방호를 위해 시급히 인접국 원자력사태 조기감시 시스템을 구축해야 되며, 각 부처별로도 업무를 나눠 체계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소방방재청의 한 관계자는 “이번에 제시된 정책대안과 의견을 재난관리 정책에 반영·추진해 실질적인 성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