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영유아 안전사고가 점심시간 전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어린이집 안전공제회에 접수된 영유아 안전사고 3,840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점심시간대인 오전 11시30분∼오후 1시30분 사이에 전체의 29.5%에 해당하는 1,020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오전 시간대(오전 9시∼11시30분)와 오후 시간대(오후 3시30분∼오후 6시)의 사고 비율은 각각 23%(891건), 19.0%(741건)를 차지했다.
수업 유형별로 보면 실내에서 이뤄지는 자유선택놀이 시간에 전체 사고의 38.9%(1,495건)가 집중됐다. 다음으로 집단활동 시간 21.1%(811건), 실외활동 시간 17.2%(662건)로 뒤를 이었다. 월별로는 전체 안전사고 가운데 80% 이상이 10월 이후 환절기와 겨울철에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안전사고 피해 아동의 연령대별 비율을 보면 만 2세가 20.8%, 만 3세가 24.5%로 전체 사고의 절반 가량이 만 2~3세 아동에 집중 발생했으며, 성별로는 남아(63.2%)의 사고 발생 비율이 여아(36.8%)보다 1.7배 높았다.
이상인 복지부 보육기반과장은 “어린이집 교사와 종사자를 대상으로 안전사고 사례와 예방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어린이집 내 안전사고 발생률을 낮추겠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어린이집 안전공제회에 접수된 영유아 안전사고 3,840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점심시간대인 오전 11시30분∼오후 1시30분 사이에 전체의 29.5%에 해당하는 1,020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오전 시간대(오전 9시∼11시30분)와 오후 시간대(오후 3시30분∼오후 6시)의 사고 비율은 각각 23%(891건), 19.0%(741건)를 차지했다.
수업 유형별로 보면 실내에서 이뤄지는 자유선택놀이 시간에 전체 사고의 38.9%(1,495건)가 집중됐다. 다음으로 집단활동 시간 21.1%(811건), 실외활동 시간 17.2%(662건)로 뒤를 이었다. 월별로는 전체 안전사고 가운데 80% 이상이 10월 이후 환절기와 겨울철에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안전사고 피해 아동의 연령대별 비율을 보면 만 2세가 20.8%, 만 3세가 24.5%로 전체 사고의 절반 가량이 만 2~3세 아동에 집중 발생했으며, 성별로는 남아(63.2%)의 사고 발생 비율이 여아(36.8%)보다 1.7배 높았다.
이상인 복지부 보육기반과장은 “어린이집 교사와 종사자를 대상으로 안전사고 사례와 예방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어린이집 내 안전사고 발생률을 낮추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