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질환 환자 1명 추가로 사망
원인 미상의 급성 폐질환이 가족 내에서 집단 발병했다. 가족에서 발병한 사례가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이다. 12일 질병관리본부 등 보건 당국에 따르면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는 폐가 딱딱하게 굳어지는 폐 섬유화 증세로 서울에 거주하는 A(32세, 여)씨와 A씨의 딸 B(6세)양이 입원했다.
A씨는 2개월 전부터 자신과 두 딸에게 호흡곤란 증세가 나타나자 서울시내의 한 병원과 부산 모 대형병원서 연달아 입원치료를 받았다. 그러나 상태가 계속 악화하자 A씨와 B양은 지난 9일과 11일 서울의 모 대학병원으로 자리를 옮겼고, A씨의 둘째 C양(1세)은 부산 병원에 남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A씨와 B양은 인공호흡기와 인공 폐에 의지한 채 폐 이식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감기 증상이 호흡곤란 등으로 악화됐다는 점에서 최근 원인불명 폐질환으로 사망하거나 치료 중인 산모들 사례와 유사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A씨의 조직검사 결과, 세기관지 중심으로 섬유화가 광범위하게 일어난 임산부들 사례와 다르다고 질병관리본부는 설명했다.
한편 A씨가 입원 중인 서울시내 대형병원에서 원인불명 폐질환으로 치료 중이던 산모 가운데 1명이 지난 10일 추가로 사망했다. 이로써 이 질환으로 최근 사망한 산모는 모두 3명으로 늘었다(13일 기준). 이번에 사망한 D(35세·충북 청주 거주)씨는 기침, 호흡곤란, 흉통 등의 증세로 지난 4월 13일 이 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했다.
그러다가 같은 증세의 입원 산모 가운데 상태가 비교적 좋은 편이고 폐 섬유화가 더 이상 진전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일반병실로 옮겨져 치료를 받아왔지만 최근 상태가 급격히 악화해 호흡부전에 따른 뇌출혈 증세로 사망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