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일부터 정밀 안전점검을 받지 않은 CNG(압축천연가스) 버스 90여대의 운행이 전면 중지된다. 또 다음달까지 CNG 버스에 대한 하절기 특별 안전점검이 이뤄진다.
정부는 24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CNG 버스사고 종합대책 점검 결과’를 발표하고, 안전점검을 받지 않은 버스의 운행을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총리실과 관련 부처에 따르면 이달 말까지 전체 CNG 버스의 96%가 가스용기를 탈착해 손상 여부를 점검하는 정밀안전점검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운행정지 대상이 될 CNG 버스는 90대가량이 될 것으로 정부 측은 내다봤다.
정부는 사고 대책과는 별도로 다음 달까지 하절기 특별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다음달 20일부터 한달간 가스 충전압력을 10% 낮추는 조치도 시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운수업체에 CNG 버스의 일상안전점검을 의무화시키도록 관련 법령을 연말까지 정비하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국민의 안전을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며 “운행정지 버스가 많지 않아 큰 불편은 없겠지만 대체 교통수단을 마련할 것인지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24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CNG 버스사고 종합대책 점검 결과’를 발표하고, 안전점검을 받지 않은 버스의 운행을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총리실과 관련 부처에 따르면 이달 말까지 전체 CNG 버스의 96%가 가스용기를 탈착해 손상 여부를 점검하는 정밀안전점검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운행정지 대상이 될 CNG 버스는 90대가량이 될 것으로 정부 측은 내다봤다.
정부는 사고 대책과는 별도로 다음 달까지 하절기 특별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다음달 20일부터 한달간 가스 충전압력을 10% 낮추는 조치도 시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운수업체에 CNG 버스의 일상안전점검을 의무화시키도록 관련 법령을 연말까지 정비하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국민의 안전을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며 “운행정지 버스가 많지 않아 큰 불편은 없겠지만 대체 교통수단을 마련할 것인지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