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관기관 참여 추진협의회 구성 논의 中
정부가 위험물질을 국가 차원에서 안전하게 통합관리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나선다. 그동안은 위험물질 운송관련 인ㆍ허가 신고 시 각 물질별로 담당부처가 달라 업무가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었고, 위험물질 사고 발생 시 이에 대한 통합 대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정부는 범부처 차원의 위험물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 하반기 중으로 각 부처들이 참여하는 협의회를 구성해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보화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위험물 관리 대상은 방사능 물질, 총포 화약류, 유독 화공약품, 독극물, 유독성 폐기물, 고압가스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세부적인 운영계획을 살펴보면 국가 위험물 안전관리 시스템 활용 및 운영과 관련된 부처별·관련기관별 역할을 정립해 조직적으로 시스템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 위험물 정보화 수립 시에는 유관 시스템과 연계하는 방안도 마련될 예정이다.
아울러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실시간 위험물 운송경로 검색 및 모니터링 서비스를 구축·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와 같은 시스템이 마련되면 위험물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사고 발생 시 대응 능력이 강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위험물질 운송에 대한 테러 감시 능력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토해양부와 환경부는 오는 11월까지 정보화 전략 계획을 수립한 후 내년부터 본격적인 시스템 구축에 나설 방침이다.
국토해양부의 한 관계자는 “국토부와 환경부를 중심으로 올해 하반기에 국가 위험물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보화 계획 수립에 나선다”며 “이를 위해 각 부처들이 참여하는 협의회를 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