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국 실현 위해 2015년까지 215억원 투입
소방방재청이 ‘스마트 재난관리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2015년까지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계획의 핵심은 최신 모바일 환경의 특성인 ‘언제(내 손안의 PC), 어디서나(이동성), 즉시(빠른 전파력)’ 등을 살려 재난안전 서비스를 실현해 나간다는 것이다.
소방방재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 안전한국 실현’을 목표로 △맞춤형 재난정보 서비스 강화 △재난현장 대응·인명구조 강화 △재난관리 스마트 오피스 체계 구축 등 3대 아젠다와 9대 중점과제, 27개 세부과제를 제시하고, 올해 22억원을 시작으로 5년간 약 215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방재청은 우선 맞춤형 재난정보 서비스 강화를 위해 민방위 사태, 긴급 재난상황 전파에 SNS 이용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모바일 기기의 특성에 맞춰 사진·동영상 등으로 재난 상황의 제보가 가능토록 하고, 지진·산사태·침수·화재 정보 등을 모바일로 서비스하는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재난현장 대응ㆍ인명구조 강화를 위해서는 스마트폰 GPS에 의해 신고자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는 시스템과 ‘119 원-터치(단축키)’를 개발해 인명 구조율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문자ㆍ3G 영상ㆍ각종 장비센서에 의한 119 신고 처리가 가능하도록 2012년 말까지 ‘119 다매체 신고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해 전국에 확산시킬 계획이다.
또한 연평도 포격 사건과 동일본 대지진 때와 같이 모든 통신수단이 단절이나 두절될 것에 대비해 유선전화, 일반 휴대폰, 스마트폰, 웹 사이트 등을 통해 음성 녹음이나 문자로 안부확인이 가능한 ‘재난지역 안부확인 서비스’를 실시하고, 비상통신을 위한 위성통신망도 구축할 예정이다.
‘재난관리 스마트 오피스 체계 구축’에는 외부에서 전자결재, e-메일 등이 가능한 부처 공용의 ‘모바일 오피스’를 도입하고 방재청 고유의 현장 업무 처리용 ‘스마트 재난관리 오피스’ 개발해 모바일 기기로 현장 점검, 피해조사 입력 등을 언제, 어디서나 가능토록 한다는 계획이 담겨있다.
특히, 대규모 재난 시 현장 활동 지원을 위해 천막형 임시 현장지휘소를 설치하는 대신 모바일 기반의 이동형 ‘스마트 재난관리 워크 센터’를 구축할 수 있도록 행안부와 협조해 나가기로 했다.
소방방재청 최월화 기획조정관은 “최근 동일본 지진 사태에서 볼 수 있듯이 안전을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모바일 정보통신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라며 “이 기술을 활용하면 취약요소 감시와 신속한 초동대응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