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돌아왔다.
보건당국은 휴가철을 맞아 해안가 방문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물놀이 사고에 각별한 주의를 요구하고 나섰다. 참고로 질병관리본부와 대한응급의학회가 제정한 물놀이사고 예방 10대 안전수칙은 다음과 같다.
△여행을 떠나기 전 응급처치 요령을 충분히 익힌다.
△야외 물놀이를 계획할 때에는 물이 깨끗하고, 자연 조건이 안전한 지역을 선택한다.
△지역의 기상 상태나 일기예보를 확인하고 거친 파도, 강한 조류 등에 주의한다.
△가능한 안전 요원이 있는 물놀이 장소를 선택한다.
△술을 마셨거나 약물을 복용 후에는 물놀이를 삼간다.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할 때는 수영을 할 수 있고 응급 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지켜봐야 한다.
△혼자 수영하는 것은 피한다.
△수영하기 전에는 반드시 준비운동을 한다.
△깊은 물에 들어가거나 보트, 수상스키, 래프팅 등 수상레저 활동 시에는 구명조끼를 착용한다.
△무리한 다이빙이나 깊은 물에서의 수영은 피한다.
보건당국은 휴가철을 맞아 해안가 방문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물놀이 사고에 각별한 주의를 요구하고 나섰다. 참고로 질병관리본부와 대한응급의학회가 제정한 물놀이사고 예방 10대 안전수칙은 다음과 같다.
△여행을 떠나기 전 응급처치 요령을 충분히 익힌다.
△야외 물놀이를 계획할 때에는 물이 깨끗하고, 자연 조건이 안전한 지역을 선택한다.
△지역의 기상 상태나 일기예보를 확인하고 거친 파도, 강한 조류 등에 주의한다.
△가능한 안전 요원이 있는 물놀이 장소를 선택한다.
△술을 마셨거나 약물을 복용 후에는 물놀이를 삼간다.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할 때는 수영을 할 수 있고 응급 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지켜봐야 한다.
△혼자 수영하는 것은 피한다.
△수영하기 전에는 반드시 준비운동을 한다.
△깊은 물에 들어가거나 보트, 수상스키, 래프팅 등 수상레저 활동 시에는 구명조끼를 착용한다.
△무리한 다이빙이나 깊은 물에서의 수영은 피한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