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대통령 “물가 고삐를 더 단단히 잡아야”
물가가 급등하면서 서민들이 느끼는 ‘고통지수’가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올해 고통지수는 7.5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지난 2008년 7.9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통지수’란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을 합산한 수치로, 올해 고통지수 상승의 주범은 4%가 넘는 상승률을 보인 ‘높은 물가’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로 4.4% 상승하며 6개월 연속 4% 상승세를 이어갔다. 올 1월 4.1%를 보였던 소비자 물가는 채소값 급등과 일본 대지진 등으로 3월에 4.7%까지 치솟았다. 4월에는 4.2%로 주춤세를 보였지만 지난달에 다시 4.4%로 오른 상황이다.
문제는 하반기에도 상황이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가 3총사로 불리는 기름값, 전셋값, 농수산물 가격이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지난달 22일 시작된 장마로 1년 강수량의 절반이 넘는 비가 쏟아졌다. 이는 농산물 생산에 악영향을 미쳐 농산물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적상추 100g의 소매가격은 1,380원으로 한 달전보다 121% 급등했고, 시금치는 ㎏당 6,540원으로 102% 올랐다.
전셋값 오름세도 지속되고 있다. 국민은행의 전국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전세시세는 지난해 6월보다 11.3% 올랐다. 월세도 꾸준히 올라 전년 대비 상승률이 1월 1.6%, 2월 1.9%, 3월 2.1%, 4월 2.3%, 5월 2.6%에 이어 6월엔 2.8%로 1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기름값 역시 지난 7일부터 정유사의 리터당 100원 할인 조치가 끝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정부 ‘물가 안전 최우선’ 거시정책 운용
더 큰 파장은 8, 9월로 예정된 공공요금의 인상이다. 전기요금은 이미 예고된 대로 8월에 인상될 예정이며 우편·철도요금·교통료 등이 포함된 지방공공요금도 10% 이상 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물가가 안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정부는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지난 18일 이명박 대통령은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현재 시급한 것은 물가와 일자리 문제”라며 “물가의 고삐를 단단히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청와대 경제수석실 내에 물가현장 점검 등을 담당할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라고 지시했다. 매주 열리는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에서도 물가 문제를 상시 의제로 삼아 변동 상황을 점검하도록 했다. 이 대통령이 강도 높은 물가 관리를 주문한 것은, 그만큼 물가 불안이 심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