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 중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여성운전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자동차공업협회와 공동으로 서울 등 전국 7개 지역 여성운전자 519명을 대상으로 자동차 안전운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76.5%가 운전 중 휴대전화 통화를 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또한 65.4%는 운전 중 네비게이션을 작동한 적이 있으며 40.1%는 휴대전화 문자송수신을 한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운전 중 이런 산만한 행동으로 인해 응답자의 39.3%는 실제로 사고의 위험을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한편 여성 운전자의 낮은 안전의식도 이번 설문조사 결과에서 드러났다. 응답자 중 43.7%는 차량에 비치하도록 되어 있는 비상삼각대 사용방법을 모르고 있었고, 차량의 냉각수와 엔진 오일을 점검할 줄 아는 경우는 26.2%에 불과했다. 유아를 동반한 여성운전자 중 71.5%는 유아보호용 장구를 착용시키지 않을 때도 있다고 답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기관에 여성운전자를 대상으로 자동차 안전운전 교육을 강화할 것을 건의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원은 자동차공업협회와 공동으로 서울 등 전국 7개 지역 여성운전자 519명을 대상으로 자동차 안전운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76.5%가 운전 중 휴대전화 통화를 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또한 65.4%는 운전 중 네비게이션을 작동한 적이 있으며 40.1%는 휴대전화 문자송수신을 한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운전 중 이런 산만한 행동으로 인해 응답자의 39.3%는 실제로 사고의 위험을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한편 여성 운전자의 낮은 안전의식도 이번 설문조사 결과에서 드러났다. 응답자 중 43.7%는 차량에 비치하도록 되어 있는 비상삼각대 사용방법을 모르고 있었고, 차량의 냉각수와 엔진 오일을 점검할 줄 아는 경우는 26.2%에 불과했다. 유아를 동반한 여성운전자 중 71.5%는 유아보호용 장구를 착용시키지 않을 때도 있다고 답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기관에 여성운전자를 대상으로 자동차 안전운전 교육을 강화할 것을 건의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