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가 산업안전보건기능을 지방으로 이양하는 방안에 대해 집중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계획에 따르면 고용부는 지방이양과 관련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을 올해 9월경에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이 같은 계획에 따라 현재 일정 수준까지는 개정안이 준비된 것으로 전해졌다.
산업안전보건기능의 지방이양 문제는 지난 한 해 동안 산업안전분야에서 가장 큰 관심을 끌었던 부분이다. 지방분권촉진위원회는 지난해 3월 산업안전보건기능의 일부를 지방으로 이양하기로 결정하고, 이에 대해 대통령재가까지 받은 바 있다. 핵심은 그동안의 중앙집권식 산재예방사업을 지역별로 다양화ㆍ분권화시킨다는 것.
이 같은 정부의 발표 직후, 양대노총과 경총 그리고 모든 학계와 기관 단체에서 반대했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도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힌 바 있다. 산업안전보건 기능의 성격상 전국적인 통일성과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만큼 지방으로 이양할 경우 산재예방 역량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고용부의 한 관계자는 “대통령의 재가가 떨어진 만큼 해당 내용을 기본으로 일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현재 지방이양과 관련된 개정안 준비는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으며 검토 단계에 있다”고 말을 아꼈다.
당초 계획에 따르면 고용부는 지방이양과 관련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을 올해 9월경에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이 같은 계획에 따라 현재 일정 수준까지는 개정안이 준비된 것으로 전해졌다.
산업안전보건기능의 지방이양 문제는 지난 한 해 동안 산업안전분야에서 가장 큰 관심을 끌었던 부분이다. 지방분권촉진위원회는 지난해 3월 산업안전보건기능의 일부를 지방으로 이양하기로 결정하고, 이에 대해 대통령재가까지 받은 바 있다. 핵심은 그동안의 중앙집권식 산재예방사업을 지역별로 다양화ㆍ분권화시킨다는 것.
이 같은 정부의 발표 직후, 양대노총과 경총 그리고 모든 학계와 기관 단체에서 반대했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도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힌 바 있다. 산업안전보건 기능의 성격상 전국적인 통일성과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만큼 지방으로 이양할 경우 산재예방 역량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고용부의 한 관계자는 “대통령의 재가가 떨어진 만큼 해당 내용을 기본으로 일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현재 지방이양과 관련된 개정안 준비는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으며 검토 단계에 있다”고 말을 아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