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 때 토사와 빗물이 섞여 빠르게 흘러내리는 토석류의 진행방향과 피해범위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지도가 제작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토석류 피해범위를 위험지역과 주의구역으로 구분해 위험지 정보를 제공하는 ‘토석류 위험예측지도(Hazard Map)’를 만들어 최근 공개했다. 이 지도는 토석류가 산 아래로 흘러내릴 때 경사가 급한 곳으로 진행된다는 가정 아래에 이동방향과 퇴적위치를 예상하는 ‘랜덤워크모델(RWM·Random Walk Model)’ 방식으로 제작됐다.
랜덤워크모델은 1회 흘러내리는 토사량, 토석류의 직진성, 토석류가 퇴적하는 경사도 등 3개의 매개변수를 활용해 토석류의 이동과 피해범위를 예측한다. 이 모델에 따르면 경사가 급할수록 피해지 면적이 늘어나고, 완만할수록 퇴적지역이 넓게 퍼지게 된다.
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이 모델을 지난 2006년 토석류가 집중 발생한 강원도 인제군과 다른 4개 지역에 적용해 본 결과 실제 피해 면적과 56%가 일치했다. 또 당시 피해를 입지 않은 주거밀집지역인 강원도 평창, 경북 봉화 지역에 각각 적용한 결과, 최대 91%의 예측력을 보였다.
특히 최근 산사태 피해를 입은 강원도 춘천 동면 천전리와 서울 서초구 우면산 지역에서는 각각 63%와 42%의 예측력을 나타냈다.
구길본 국립산림과학원장은 “이 지도는 위험지역 안에 사는 주민들이 토석류로부터 안전한 곳으로 피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면서 “사방댐과 같은 토석류 재해방지시설의 규모와 설치장소를 결정하는 데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토석류 피해범위를 위험지역과 주의구역으로 구분해 위험지 정보를 제공하는 ‘토석류 위험예측지도(Hazard Map)’를 만들어 최근 공개했다. 이 지도는 토석류가 산 아래로 흘러내릴 때 경사가 급한 곳으로 진행된다는 가정 아래에 이동방향과 퇴적위치를 예상하는 ‘랜덤워크모델(RWM·Random Walk Model)’ 방식으로 제작됐다.
랜덤워크모델은 1회 흘러내리는 토사량, 토석류의 직진성, 토석류가 퇴적하는 경사도 등 3개의 매개변수를 활용해 토석류의 이동과 피해범위를 예측한다. 이 모델에 따르면 경사가 급할수록 피해지 면적이 늘어나고, 완만할수록 퇴적지역이 넓게 퍼지게 된다.
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이 모델을 지난 2006년 토석류가 집중 발생한 강원도 인제군과 다른 4개 지역에 적용해 본 결과 실제 피해 면적과 56%가 일치했다. 또 당시 피해를 입지 않은 주거밀집지역인 강원도 평창, 경북 봉화 지역에 각각 적용한 결과, 최대 91%의 예측력을 보였다.
특히 최근 산사태 피해를 입은 강원도 춘천 동면 천전리와 서울 서초구 우면산 지역에서는 각각 63%와 42%의 예측력을 나타냈다.
구길본 국립산림과학원장은 “이 지도는 위험지역 안에 사는 주민들이 토석류로부터 안전한 곳으로 피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면서 “사방댐과 같은 토석류 재해방지시설의 규모와 설치장소를 결정하는 데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