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19 종합상황실에 걸려온 신고 전화가 지난해보다 증가했지만 10통 중에 8통은 잘못 걸린 전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119 종합상황실에 걸려온 신고전화가 총 213만 5,766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 136만 4,447건 보다 56.5%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이 휴대전화의 오접속 및 미응답 신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고 접수 내용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오접속 및 미응답’이 1,615,970건(76.8%)으로 가장 많았으며 ‘긴급을 요하는 화재와 구조ㆍ구급 신고’는 300,353건(14%)에 그쳤다.
그 외에는 ‘민원안내 등 기타신고’가 219,443건(10.2%)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오접속 및 무응답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의 월평균 141,822건에서 올해는 230,852건으로 62%가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소방재난본부의 한 관계자는 “오접속 및 미응답 전화의 급증은 일부 스마트폰의 긴급전화 발신용 단축키가 잘못 작동되거나, 어린이와 고령자의 휴대전화 조작 미숙 등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119 종합상황실에 걸려온 신고전화가 총 213만 5,766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 136만 4,447건 보다 56.5%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이 휴대전화의 오접속 및 미응답 신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고 접수 내용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오접속 및 미응답’이 1,615,970건(76.8%)으로 가장 많았으며 ‘긴급을 요하는 화재와 구조ㆍ구급 신고’는 300,353건(14%)에 그쳤다.
그 외에는 ‘민원안내 등 기타신고’가 219,443건(10.2%)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오접속 및 무응답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의 월평균 141,822건에서 올해는 230,852건으로 62%가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소방재난본부의 한 관계자는 “오접속 및 미응답 전화의 급증은 일부 스마트폰의 긴급전화 발신용 단축키가 잘못 작동되거나, 어린이와 고령자의 휴대전화 조작 미숙 등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