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화학물질 협의체’ 가동, 울산 ‘대형사고 방지 회의’ 개최
최근 잇따른 산단 화재폭발사고를 계기로 지역 유관기관들이 사고대응방안 모색에 적극 힘을 모으고 있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여수산단의 화학물질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화학사고 등에 대처하기 위해 ‘여수산단 화학물질관리 지역협의체’를 구성했다고 최근 밝혔다.
협의체에는 광주지방고용노동청, 전남도청, 여수시청, 여수경찰서, 여수소방서, 보병제31사단, 여수산단환경협의회, 전남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등 9개 기관이 참여했다.
환경청의 한 관계자는 “석유화학제품제조공장의 폭발 등으로 인한 유독가스 유출사고 시 방제인력 및 제독장비가 신속하게 지원될 수 있도록 대응체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화학물질이 안전하게 보관·관리될 수 있도록 관련 기관간 정보를 공유하는 등 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다.
협의체는 향후 기관별 대응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화학사고 대비 합동훈련, 화학물질 취급업체에 대한 관리방안 수립 등 구체적인 실행에 나서기로 했다.
법령 위반한 경영진 엄격 처벌 필요
한국가스안전공사 울산지역본부, 울산 남부소방서 등 울산지역 5개 관계기관은 최근 ‘국가산업단지 대형사고 방지대책 회의’를 열고 사고 방지대책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설비 노후화, 비용부담에 따른 기업의 설비 보수 기피, 정비ㆍ보수업체의 안전교육 경시 등이 대형사고를 불러온다는데 공감했다.
대표적인 의견을 살펴보면 먼저 남부소방서는 기업이 안전시설 재투자에 인색한데다 시설 보수작업 시 안전작업 절차를 잘 준수하지 않고 외주업체 감독도 소홀히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개선키 위해 소방서측은 산안법이나 소방법령을 위반한 사업체의 경영진에게 정부가 보다 강한 처벌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가스안전공사 울산지역본부는 정비ㆍ보수 업체 선정과정을 사고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았다. 선정이 최저가 입찰방식으로 이뤄져 기술적ㆍ재정적으로 영세한 업체가 선정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안전관리도 허술해지고 있다는 게 그 설명.
따라서 가스안전공사측은는 최저가 입찰제를 폐기하고, 우수 업체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으로 정비ㆍ보수업체 선정 방법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의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근시일래 관계기관 합동으로 안전점검을 진행하는 한편 대형공장이 자체적으로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도록 업계 차원에서 독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